여당 최고회의 덮친 코로나, 이해찬·김태년 자가격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26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가 이해찬 대표(가운데) 주재로 국회에서 열렸다. 이날 오후 이 회의를 취재한 기자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회의장에 있던 이 대표 등 당직자 30여 명은 1차 접촉자로 분류됐다. 이 대표가 마스크를 한 채 감염 차단막을 앞에 두고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26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가 이해찬 대표(가운데) 주재로 국회에서 열렸다. 이날 오후 이 회의를 취재한 기자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회의장에 있던 이 대표 등 당직자 30여 명은 1차 접촉자로 분류됐다. 이 대표가 마스크를 한 채 감염 차단막을 앞에 두고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덜커덩거리며 진행되던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가 26일 ‘일격’을 맞았다. 8·29 전대까지 불과 사흘을 남겨둔 시점이다.

회의장 취재기자 확진 판정 #전당대회 일정 영향 미칠지 주목 #국회 오늘 하루 폐쇄하고 방역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최고위원회의를 취재했던 기자가 당일 밤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당시 회의엔 이해찬 대표와 김태년 원내대표, 남인순·박광온·이형석 최고위원, 조정식 정책위의장, 윤호중 사무총장, 윤관석 정책위 수석부의장, 김경협·김영진·김성환·송갑석·진성준·박성준 의원과 당직자 18명 등으로 ‘1차 접촉자’가 30여 명이었다. 사실상 당을 꾸려가는 주축들이다. 이들은 이날 오전 해당 기자의 검사 사실이 알려진 후 선제적으로 자가격리에 들어갔었다. 여기에 취재기자 5~6명이 있었다.

민주당은 확진 사실을 전달받곤 당 일정을 취소했다. 27일 오전 잡혔던 정책조정회의부터다. 또 26일 오후 8시 당 관계자들에게 “국회 출입기자가 코로나 선별검사 결과 확진 판정을 받았다”며 “내일(27일) 오전 9시30분 이후 질병관리본부에서 검사 대상자를 판정할 예정이니 개별적인 진료 방문을 지양해 달라”는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이어 “당분간 국회 출입이 제한되니 구체적 지침이 있을 때까지 자가격리를 계속해 달라”고 했다.

현재로선 전대는 예정대로 한다는 쪽이다. 다만 27일 오전 질병관리본부 역학조사관의 검사 대상자에 대한 판정 여부에 따라 검사 대상과 자가격리의 폭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전대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 당직자는 “현재 회의장에 투명한 감염 차단막이 설치돼 있어서 크게 접촉도를 우려할 정도는 아니라고 본다”면서도 “내일 상황을 봐야 한다”고 전했다. 만일 당 대표 후보로 뛰는 이낙연 의원처럼 음성으로 나오더라도 2주간 자가격리를 해야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당직자는 “이 대표의 경우 당선자에게 축하와 연설도 해야 하는데 그 부분이 제일 걱정이다. 아직 정해진 건 없는데…”라고 말했다.

앞서 당 전당대회준비위 총괄 간사인 진성준 의원이 이날 전대 참석 인원에 대해 47명 또는 9명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여의도 당사에서 온라인 방식으로 치르기 때문이다. 지금처럼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가 유지되면 취재진까지 포함해 47명, 3단계로 격상될 경우 9명으로 소개했다. 이낙연 의원은 자가격리 중이라 함께하지 못한다. 이번 확진 여파로 참석하지 못하는 이들이 늘 수도 있게 됐다. 만약 확진자가 나올 경우 여파는 더 커진다. 이 때문에 전대가 연기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국회도 27일 본청과 의원회관, 소통관 등을 모두 폐쇄하고 방역 작업을 벌이기로 했다. 1차 접촉자인 민주당 최고위 참석자 30여 명은 자가격리 조치 뒤 역학조사를, 2차 접촉자인 복기왕 국회의장 비서실장, 최종길 정무수석 등 국회 관계자들은 능동감시 대상으로 분류돼 추이를 지켜보기로 했다. 이에 따라 상임위 일정도 모두 취소됐다.

민주당 최고위 회의 직후 가진 국회의장·여야 원내대표 회동에서 김 원내대표와 만났던 박병석 국회의장과 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도 예의주시 중이다. 야당은 접촉자 파악과 함께 보좌관 재택근무 방침을 내리며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김성원 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는 “민주당이 서둘러 검사를 받고 알려줘야 우리도 제대로 대처할 수 있다”고 했다.

김효성·하준호 기자 kim.hyos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