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접근 태풍 '바비'…세력 커지며 '눈'도 더 뚜렷해졌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천리안 2A 호 위성에서 촬영한 제8호 태풍 '바비'. 제주도 부근까지 접근했다. 자료:기상청

천리안 2A 호 위성에서 촬영한 제8호 태풍 '바비'. 제주도 부근까지 접근했다. 자료:기상청

강풍과 폭우를 동반한 제8호 태풍 '바비(BAVI)'가 제주도 부근까지 북상했다.
26일 오전 천리안 2A 호 위성에서 촬영한 '바비'는 태풍의 눈이 뚜렷하게 관찰됐다.

오늘 저녁 무렵 목포 서쪽 해상까지 북상

이날 오전 8시 현재 제주도 서귀포 남서쪽 약 240㎞에 위치한 태풍 '바비'는 정오 무렵 서귀포 서쪽 180㎞ 부근 해상을 지날 것으로 기상청은 예보했다.

또, 이날 저녁 무렵에는 전남 목포 서쪽을 거쳐 북상 계속, 자정 무렵에는 충남 서쪽 서해를 지날 것으로 예상된다.

 태풍 '바비' 예상 진로. 자료:기상청

태풍 '바비' 예상 진로. 자료:기상청

이후 태풍은 경기 서해안에 영향을 준 뒤 27일 새벽 북한 황해도에 상륙, 27일 오전 6시에는 평양 남남서쪽 약 90㎞ 부근에 위치할 전망이다.

현재 중심 부근 최대 풍속이 초속 43m이지만, 정오 무렵에는 초속 45m의 '매우 강한' 태풍으로 세력이 더 커질 것으로 기상청은 예상했다.
태풍은 이날 저녁 목포를 지날 때도 비슷한 세력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또, 27일 새벽 태풍이 상륙할 무렵까지도 중심 부근 최대 풍속이 초속 40m가 넘는 '강한' 태풍의 세력을 유지할 것으로 기상청은 내다봤다.

제주도가 제8호 태풍 '바비'의 직접 영향권에 들어간 26일 오전 거대한 파도가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모슬포항 방파제를 넘고 있다. 연합뉴스

제주도가 제8호 태풍 '바비'의 직접 영향권에 들어간 26일 오전 거대한 파도가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모슬포항 방파제를 넘고 있다. 연합뉴스

역대 주요 태풍 경로와 최대 풍속 비교.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역대 주요 태풍 경로와 최대 풍속 비교.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이에 따라 전국 대부분 지역이 태풍의 영향권에 들 것으로 보인다.
서울 등 수도권 지역에서는 27일 새벽 태풍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전망이다.

제주도는 27일 새벽까지, 서해안은 26일과 27일에 최대순간풍속 시속 144~216㎞(초속 40~60m)의 매우 강한 바람이 예상된다.
서울과 경기도, 충청, 호남, 경남에서도 27일까지 최대순간풍속 시속 126㎞(초속 35m) 이상의 매우 강한 바람이 불겠다.

이와 함께 태풍의 영향으로 호남과 제주도, 지리산 부근에는 최대 300㎜(제주도 산지 500㎜ 이상), 경북 서부 내륙과 경남 남해안은 최대 150㎜의 매우 많은 비가 내리겠다.
그 밖의 전국에도 30~100㎜의 많은 비가 예상된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