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주민 "지진피해 100% 보상" 요구…코로나 탓 집회 축소

중앙일보

입력

18일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흥해신로터리에서 포항지진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에 포항시민 의견을 반영할 것을 촉구하는 집회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18일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흥해신로터리에서 포항지진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에 포항시민 의견을 반영할 것을 촉구하는 집회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경북 포항 주민들이 18일 "2017년 11월 15일 발생한 지진 피해 100% 보상"을 요구하며 집회를 열었다. 주민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고려해 참석 인원을 대폭 축소했다.

포항서 지진 피해 100% 보상 요구 집회 #18일 오후 3000명 몰릴 예정이었지만 #오전 긴급 회의…500명으로 대폭 축소

지진 피해주민 500여 명은 18일 오후 2시 포항시 흥해읍 흥해신로터리에서 지진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에 시민 의견 반영을 촉구하는 집회를 개최했다. 집회 참석자들은 피켓을 들고 “11·15 촉발지진의 정부책임을 인정하고 시행령에서 규정한 지원 한도와 지급비율을 반드시 삭제하라”고 외쳤다.

 오는 9월 1일부터 시행되는 지진특별법 시행령에 따르면 지진 피해 유형에 따라 각각의 한도 금액 내에서 피해 금액의 70%를 지원하도록 비율을 정해 놓았다. 지진으로 피해를 본 주택이 ‘수리불가’ 판정을 받으면 주택금액의 70%(최대 1억2000만원)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포항 주민들은 “포항 지진이 인재(人災)로 판명 났기 때문에 정부가 전부 보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이날 집회에서 “지진피해를 본 지역의 경제 활성화와 피해 지역 재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지원대책도 마련하라”며 “이러한 요구가 관철되지 않으면 강력한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당초 이 집회에는 3000명이 몰릴 계획이었지만, 최근 수도권 교회와 광화문 집회를 다녀온 확진자가 늘자 포항시는 이날 오전 집회 자제를 요청했다. 강창호 흥해개발자문위원장은 “코로나19 감염 위험에 집회 취소까지도 고려했지만, 정부에게 마지막 메시지를 주고자 축소해 열게 됐다”고 설명했다. 포항시는 이날 현장 주요지점마다 발열 검사소를 설치해 체온을 일일이 측정하고 거리두기를 지켜달라고 요청했다.

 한편 포항에서는 지난 광화문 집회에 포항 시민 340명 정도가 참가한 것으로 추정돼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현재까지 수도권 교회, 광화문 집회 관련 포항 지역 확진자는 2명이다.

포항=백경서 기자 baek.kyungse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