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인구 올해 사상 첫 자연감소 확실…7개월째 줄어

중앙일보

입력

우리나라 인구가 7개월 연속 자연감소했다. 인구 자연감소 최장기록이 또 깨졌다.
특히 5월 출생아 수와 혼인 건수는 통계 집계 이래 같은 달 기준 역대 최소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29일 ‘5월 인구동향’을 통해 지난 5월 전국 출생아 수가 2만3001명으로 1년 전보다 2359명(-9.3%) 줄었다고 밝혔다. 1981년 통계를 집계한 이래 5월 기준 최소치다. 출생아 수는 2015년 12월 이후 54개월 연속 1년 전보다 감소했다.

5월 사망자 수는 2만4353명으로 1년 전보다 397명(-1.6%) 줄었다.

서울 시내의 한 병원 신생아실이 비어있는 모습. 뉴스1

서울 시내의 한 병원 신생아실이 비어있는 모습. 뉴스1

인구 고령화로 증가 추세를 지속해온 사망자 수가 8개월 만에 감소했다. 통계청은 “지난해 5월 사망자 수 증가율이 높았던 기저효과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5월 인구 자연증가(출생아 수-사망자 수)는 -1352명이었다. 지난해 11월부터 7개월 연속 마이너스가 이어졌다.

이런 추세로 보면 올해 사상 첫 인구 자연감소가 확실시된다.

한편 5월에 신고된 혼인 건수는 1만8145건으로 1년 전보다 4900건(-21.3%) 줄었다. 5월 기준으로 보면 1981년 통계 집계 이후 가장 적었다.
통계청은 “혼인의 주 연령층인 30대에서 인구감소 지속되는 추세에다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결혼식과 혼인 신고를 미룬 점, 혼인신고 일수가 1년 전보다 2일 적은 점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올해 1∼5월 누계 혼인 건수(9만2101건)도 통계 집계 이후 가장 적다.

문병주 기자 moon.byungj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