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야놀자] 엄브렐러 펀드의 고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9면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펀드 전환 비용을 최소화하고 투자자 본인의 의사를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상품이 필요했습니다. 그게 바로 엄브렐러, 즉 '우산' 펀드입니다. 하나의 우산을 여러 개의 우산살이 떠받치는 것처럼, 엄브렐러 펀드는 하나의 세트 안에 여러 가지 종류의 펀드가 들어 있습니다.

구성 유형은 운용사별로 다르지만 대체로 주식형.혼합형.채권형.머니마켓펀드(MMF) 등 운용자산별로 만들거나 특정 업종 주식에만 투자하는 '섹터형', 또는 펀드 수익률이 주가지수와 함께 움직이는 '인덱스형'이나 이와 거꾸로 움직이는 '리버스형' 등으로 구성합니다. 엄브렐러 펀드는 처음 투자할 때 불입금액의 1% 정도만 비용으로 내고 나면 1년에 12번까지 펀드를 옮겨 탈 수 있습니다. 아예 전환 비용이 없는 펀드도 있습니다.

투자자는 위험이나 특징이 다른 펀드들을 시장상황에 따라 갈아타면서 시장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즉, 주가가 상승할 때는 주식펀드에 머물다가 주가가 하락할 때는 채권형이나 MMF, 더 공격적인 투자자라면 리버스 주식펀드로 옮겨 타는 형태로 자금을 운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펀드 운용은 펀드매니저 고유 영역이므로 투자자가 관여할 수 없지만, 시장상황에 따라 상품을 옮겨 타면서 수익을 챙기는 것은 투자자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엄브렐러 펀드는 생각만큼 활성화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엄브렐러 펀드의 수익 원천은 전환 시점의 선택입니다. 판매사 입장에서 제대로 된 조언을 해 주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수료를 받아 전문 상담직원을 양성해야 합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추가적인 수수료를 받기가 불가능해 투자자가 알아서 전환 시점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기대만큼 수익률을 올리지 못해 인기가 시들한 것입니다.

최상길 제로인 상무 www.funddoctor.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