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갈 때 까다로운 보안검색, 내년 하반기 사라진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내년 하반기부터는 미국행 항공기를 타는 승객에 대한 보안 인터뷰와 탑승구 앞 추가 검색 등의 번거로운 절차가 사라지게 된다. 미국이 우리나라의 항공 보안 수준을 높게 평가한 데 따른 것이다.

한·미 보안인터뷰·검색 생략 합의 #“미국이 한국 보안 수준 높이 평가”

국토교통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으로 미국 교통보안청(TSA·Transportation Security Administration)과 ‘한·미 항공 보안체계 상호 인정 합의서’를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미국이 아시아 국가들과 이러한 합의서를 체결한 건 우리나라가 처음이다. 미국 교통보안청은 미 국토안보부 산하 조직으로 2001년 9·11 테러 이후 미국행 항공기의 추가 보안검색 등 항공 보안 정책을 주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미 양국은 항공 보안 규정 검토 등 세부 협의 및 준비를 거쳐 내년 하반기부터 합의 내용을 시행할 예정이다.

앞서 미국 교통보안청은 테러 위협에 대응한다는 차원에서 2017년 6월 말부터 미국을 취항하는 전 세계 항공사를 대상으로 승객과 휴대 물품 등에 대한 보안검색 강화를 요구했다. 이에 따라 연간 345만 명에 달하는 우리나라의 미국행 승객은 공항 체크인 카운터와 탑승구 앞 등에서 여러 가지 보안 사항에 대한 질의에 응답해야 했고, 탑승 직전 폭발물 검사 등 추가 검색도 받아야만 했다.

특히 폭발물 검사는 미국 교통보안청에서 미국행 승객 명단 중에서 무작위로 선정해 보내면 항공사에서 해당 승객을 찾아 탑승구 앞에서 추가 보안검색을 시행하는 방식으로 이뤄져 왔다. 또 행동이 불안정한 승객 등도 검색 대상이다.

항공사들은 이 같은 보안 강화 조치를 위해 인력을 충원하는 등 연간 약 200억원가량의 비용을 추가 지출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보안 인터뷰와 탑승구 앞 추가 검색만 없어져도 미국행 승객들의 불편이 상당 부분 해소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어명소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이번 합의는 미국이 우리나라의 항공 보안 수준을 자국에 버금가는 것으로 인정했다는 의미가 있다”며 “미국행 승객의 불편 해소가 차질없이 시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kksk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