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는 똑똑했다···나뭇가지로 보금자리 만드는 모습 첫 포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메러디스 루트번스타인 유튜브 캡처]

[메러디스 루트번스타인 유튜브 캡처]

 돼지가 나뭇가지 등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돼지의 IQ(지능지수)는 75∼85 정도로, 보통 60인 개보다 높고 3∼4세 아이의 지능과 비슷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도구까지 활용한다는 게 연구를 통해 확인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7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프랑스 연구팀은 멸종 위기종인 ‘비사얀워티피그’라는 품종의 돼지가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나뭇가지 등의 도구를 이용한다는 점을 연구해 과학저널 ‘포유류 생물학’ 최신호에 게재했다.

이 연구는 프랑스 생태학자 메러디스 루트번스타인이 지난 2015년 파리 동물원에서 우연히 목격한 돼지에서 시작됐다. 주인공은 ‘프리실라’라는 이름의 성체 비사얀워터피그. 루트번스타인은 프리실라가 코로 땅을 파는 모습을 지켜보고 있었다. 마치 보금자리를 만드는 듯했다. 그런데 처음에는 코만 쓰던 이 돼지가 갑자기 가로 10㎝, 세로 40㎝ 정도 되는 나무껍질을 물더니 흙을 “꽤 빠르고 힘차게” 파내 옮기는 것이었다.

루트번스타인은 이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랐다고 회상했다. 영장류와는 달리 손가락이 없는 돼지가 도구를 사용한다는 것, 게다가 보금자리를 만든다는 것은 알려진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는 연구팀을 꾸려 3년간 이 동물원을 오가며 돼지들을 자세히 지켜봤다.

연구 결과 그 우리에서 도구를 사용하는 건 프리실라뿐만이 아니었다. 2016년에는 프리실라와 암컷 새끼들이 나뭇가지를 물고 노를 젓는 것처럼 움직여 땅을 파며 보금자리를 만드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듬해인 2017년 프리실라는 나뭇가지를 물고 7차례나 땅을 팠다.

하지만 돼지들이 나뭇가지를 이용하는 것보다는 발굽이나 코로 땅을 파는 게 더 효율적이었다. 따라서 돼지들의 이런 행동이 효율성을 떠나 그저 도구를 사용하는 것 자체를 즐기기 위해 하는 행동일 것이라는 해석이 제기됐다. 신체적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시작된 행동이라거나, 도구를 쓰는 행동이 보금자리를 만드는 데 실제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연구팀은 돼지들이 왜 도구를 쓰는지 명확한 해답을 내놓지는 않았다. 대신 인간처럼 가족 단위로 함께 사는 비사얀워터피그 가족이 서로의 행동을 보고 도구 사용법을 배웠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루트번스타인은 “우리는 인간뿐 아니라 수많은 다른 동물들도 나름의 방식으로 주변 환경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추인영 기자 chu.in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