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국무부, 북핵 동결 논란 진화…“비핵화 과정의 시작일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미 국무부가 9일 “북핵 동결은 이 과정의 해결책이나 최종 목표가 아닌 시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정부는 여전히 북한 대량살상무기(WMD)의 완전한 제거를 원한다”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지난달 30일 판문점 회동 이후 미국 정부가 하노이 빅딜론→핵동결론으로 전략을 바꿨다는 논란이 일자 진화에 나선 것이다.

“WMD 완전 제거가 최종목표”

모건 오르태거스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스티븐 비건 대북특별대표가 핵 동결(Nuclear Freeze)을 언급한 것이 미국의 목표인지를 확인하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외교를 통해 한반도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며 “우리는 분명히 북한의 대량살상무기가 완전히 없어지는 것을 보길 원한다”고 밝혔다. 이어 “동결은 결코 이 과정의 해결책이 될 수 없고 과정의 끌이 되지도 않을 것”이라면서 “어떤 행정부도 동결을 최종 목표로 규정하지 않았고, 그것은 과정의 시작”이라고 거듭 말했다. 핵동결론이 사실상 북한 핵보유를 인정한 것이란 논란이 거듭되자 1단계 첫 조치임을 분명히 한 것이다.

그는 또 “판문점 회동은 정상회담이나 협상은 아니었지만, 한국 국민과 전 세계에 매우 특별하고 역사적인 날이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제프리 루이스 미들버리국제연구소 비확산센터 소장은 8일 워싱턴포스트 기고에서 “판문점 회동의 의미는 역사적 이벤트보다 미국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받아들였다는 것”이라며 “북한이 핵을 계속 보유하는 것이 이제 트럼프에게 괜찮아 보인다”며 핵 군축론을 주장했다.

워싱턴=정효식 특파원 jjpo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