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73%'한국 청년 불행하다'”…청년지원 필요한가 물으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의 한 공무원시험 준비학원. 기사내용과 관계 없음. [연합뉴스]

서울의 한 공무원시험 준비학원. 기사내용과 관계 없음. [연합뉴스]

국민 73.4%는 한국 청년이 불행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는 22일 '저출산·고령사회 대응 국민 인식 및 욕구 모니터링'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2018년 6월 25일∼7월 6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2000명(남자 990명, 여자 101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한국 청년들이 얼마나 행복하다고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행복하다'는 응답은 26.6%(조금 행복 23.5%, 매우 행복 3.1%), '불행하다'는 의견은 73.4%(매우 불행 25.2%, 조금 불행 48.2%)에 달했다.

이 가운데 '한국 청년은 행복하다'는 의견 응답률은 남자(28.7%)가 여자(24.5%)보다 약 4%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20∼50대까지는 22~25%가 '한국 청년이 행복하다'고 응답했만, 60대 이상에서는 35%가 그렇게 답했다. 60대 이상이 20~50대보다 '한국 청년이 행복하다'고 인식한다는 의미다.

자녀 유무로 나눴을 때는 자녀가 있는 응답자 (28.2%)가 자녀가 없는 응답자(22.4%)보다 한국 청년이 행복하다고 보았다.

이와 관련해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청년 지원이 필요하다는 데 응답자의 88.1%가 동의했고, 노인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83.7%가 '그렇다'고 답했다.

아울러 '한국 아이들의 행복도'에 대해서도 절반이 넘는 응답자(52%)가 '불행하다'(매우 불행 13.9%, 조금 불행 38.1%)고 답했다. '한국 아이들은 행복하다'는 질문 응답률은 48%(매우 행복 7.9%, 조금 행복 40.2%)였다.

또 '한국 노인들이 얼마나 행복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는 '불행하다'(매우 불행 15.3%, 조금 불행 43.9%)는 의견이 59.2%였고, 40.8%만 '행복하다'(매우 행복 6.7%, 조금 행복 34.1%)고 했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