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北, 완전한 핵폐기 의지 실질적으로 보여줘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스웨덴을 국빈 방문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북한은 완전한 핵폐기와 평화체제 구축 의지를 국제사회에 실질적으로 보여줘야 한다”며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을 때까지 양자ㆍ다자대화를 가리지 않고 국제사회와 대화를 계속해야 한다”고 밝혔다.

스웨덴을 국빈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전(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구 하원 의사당에서 연설하고 있다.   스웨덴은 의회 본회의장에서 연설하지 않는 것이 관행이며, 해외 귀빈 방문 시 의회 구 하원 의사당에서 연설한다. 연합뉴스

스웨덴을 국빈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전(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구 하원 의사당에서 연설하고 있다. 스웨덴은 의회 본회의장에서 연설하지 않는 것이 관행이며, 해외 귀빈 방문 시 의회 구 하원 의사당에서 연설한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이날 스웨덴 의회(구 하원 의사당)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를 위한 신뢰’를 주제로 연설을 갖고 “국제사회는 북한이 진정으로 노력하면 제재 해제는 물론이고 북한의 안전도 국제적으로 보장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12일(현지시간) 노르웨이의 오슬로 포럼 기조연설에서 국민의 일상에 도움이 되는 적극적 평화를 새로운 평화 비전으로 제시했다면, 이날 연설에선 북한에 비핵화 의지를 대화로 보여줄 것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남북 국민 간 신뢰 ▶대화에 대한 신뢰 ▶국제사회에 대한 신뢰 등 3대 신뢰를 획득하는 것이 한반도 평화 정착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신뢰’를 25번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국제사회에 대한 신뢰를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에서) 우발적인 충돌과 핵무장에 대한 세계인의 우려는 계속되고 있다. 국제사회의 제재를 풀기 위해서는 이 우려를 불식시켜야 한다”며 “국제사회의 제재에서 벗어나 남북이 경제공동체로 거듭나면 한반도는 동북아 평화를 촉진하고, 아시아가 가진 잠재력을 실현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 과정에서 한국이 함께 노력할 뜻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국제사회의 신뢰 회복을 위해 북한과 함께 변함없이 노력할 것”이라며 “남북이 함께 국제사회의 신뢰를 회복하면 더 많은 가능성이 눈앞의 현실이 될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또한 “북한의 평화를 지켜주는 것은 핵무기가 아닌 대화”라며 “북한은 대화를 통한 문제해결을 신뢰하고, 대화 상대방을 신뢰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화의 전제 조건은 체제 유지와 안전보장이라는 점도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서로의 체제는 존중되어야 하고 보장받아야 한다. 그것이 평화를 위한 첫 번째이며 변할 수 없는 전제”라며 “북한이 대화의 길을 걸어간다면, 전 세계 어느 누구도 북한의 체제와 안전을 위협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동시에 “신뢰는 상호적이어야 한다. 한국 국민도 북한과의 대화를 신뢰해야 한다”며 “대화를 불신하는 사람들이 평화를 더디게 만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에 “세 차례 남북 정상회담을 통한 대화는 이미 여러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을 주지시켰다. 문 대통령은 “군사분계선에서의 적대행위가 중단되고, 남북의 도로와 철도가 연결되고 있다”며 “접경지역의 등대에 다시 불을 밝혀, 어민들이 안전하게 고기잡이에 나설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스웨덴의 비핵화 사례를 언급하며 “노벨평화상 수상자 알바 뮈르달 여사는 바로 이 자리에서 전세계 군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처음으로 선언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스웨덴은 개발 기술을 가지고 있었지만 핵무기 보유를 포기했다”며 “스웨덴이 어느 국가보다 먼저 핵을 포기할 수 있었던 데는 인류가 새로운 미래를 만들 수 있다는 신뢰를 가졌기 때문”이라고 신뢰를 또 강조했다.

문 대통령이 이날 연설한 장소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2000년 12월 노벨평화상 수상 직후 연설한 곳이다.

스톡홀름=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