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분석]한국 경제 최후의 보루마저···경상수지 7년만에 적자 전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뉴스분석 

박양수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이 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기자실에서 열린 '2019년 4월 국제수지(잠정)' 기자설명회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뉴스1]

박양수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이 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기자실에서 열린 '2019년 4월 국제수지(잠정)' 기자설명회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뉴스1]

 산 넘어 산이다. 4월 경상수지가 7년 만에 적자를 기록했다. 1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0.4%)로 뒷걸음질한 데 이어 날아든 반갑지 않은 성적표다.

4월 경상수지 -6억6000만 달러 #83개월 연속 흑자 행진 막 내려 #외국인 투자자 배당금 늘어난 탓 #서비스 수지 적자 26개월 최저 #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19년 4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경상수지는 6억6000만달러 적자를 냈다. 2012년 4월(-1억4000만달러) 이후 7년 만의 적자 전환이다. 2012년 5월부터 83개월 연속 이어져온 경상수지 흑자 행진도 끝났다.

 경상수지는 그나마 한국 경제의 믿을만한 구석이었다. 정부와 여당이 한국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이 튼튼하다고 할 때 내세웠던 대표적인 지표가 경상수지 흑자와 국내총생산(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규모다.

 해외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 특성상 적정 수준의 경상수지 흑자가 필요하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한국은행은 4월 경상수지 적자가 계절적 요인에 따른 일시적인 요인이라고 강조한다. 일반적으로 4월에는 연말 결산법인의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배당금 지급이 집중된다. 경상수지를 깎아먹는 요인이다.

 4월 67억8000만 달러의 배당소득이 지급됐다. 지난해 4월(76억6000만달러) 다음으로 규모가 컸다. 그 결과 배당소득수지는 49억9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적자 규모는 2017년(-51억2000만달러)과 지난해(-63억6000만달러)에 이은 역대 3위다.

 늘어난 배당금이 ‘결정적 한 방’이었지만 경상수지가 7년만에 적자로 돌아선 밑바닥에는 한국 경제의 엔진인 수출의 둔화가 있다. 반도체 단가 하락과 세계 교역량 둔화로 수출이 무너진 탓이다.

 이를 보여주는 것이 줄어드는 상품수지 흑자 규모다. 지난 3월 흑자 규모가 일시적으로 커졌지만 지난해 9월 정점을 찍은 뒤 내림세를 이어왔다.
4월 상품수지는 56억7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1년 전(96억2000만달러)과 비교하면 크게 쪼그라들었다. 수출은 줄고 수입이 늘어난 영향이다.

 수출은 483억달러로 1년전보다 6.2% 줄었다. 지난해 12월부터 5개월 연속 감소세다. 반도체 단가 하락과 미ㆍ중 무역분쟁의 여파로 풀이된다. 수입(426억3000만달러)은 1년 전보다 1.8% 늘었다. 지난해 12월 이후 4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서비스수지는 14억3000만달러 적자를 냈다. 2016년12월(-6억6000만달러) 이후 2년4개월 만에 적자 폭이 가장 적었다. 여행수지 적자(-6억8000만달러)가 1년 전보다 크게 줄어들었지만 경상수지 적자 전환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5월 경상수지 전망은 일단 흑자 전환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박양수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은 “배당금 지급과 같은 계절적 요인이 사라지면 5월 경상수지는 흑자를 나타낼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우려의 목소리도 이어진다. 5월에도 수출 감소세가 이어지며 무역수지 흑자가 22억7000만달러에 불과했던 만큼 경상수지가 다시 흑자로 돌아설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

 한편 4월 금융계정에선 3억8000만달러 순자산 증가를 기록했다. 직접투자가 35억5000만달러, 증권투자가 33억달러 늘었다. 증권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53억4000만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20억4000만달러 증가했다. 준비자산은 11억1천만달러 감소했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