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정 권익위장 "경찰·버닝썬 유착 의심돼 檢에 자료 넘겼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박은정 국민권익위원장이 13일 서울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2019년 업무계획을 발표하기 위해 단상에 오르고 있다. 권익위는 채용비리와 갑질 등 일상 속 특권과 반칙을 근절하겠다고 발표했다. [뉴스1]

박은정 국민권익위원장이 13일 서울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2019년 업무계획을 발표하기 위해 단상에 오르고 있다. 권익위는 채용비리와 갑질 등 일상 속 특권과 반칙을 근절하겠다고 발표했다. [뉴스1]

박은정 국민권익위원장은 14일 버닝썬 사건에 대해 “(서울 강남 클럽 관계자들과) 경찰의 유착 의심 정황을 감안해 검찰에 조사 자료를 넘겼다”고 말했다. 성매매 알선 의혹과 관련 빅뱅 승리(29)의 카카오톡 대화록 등에 대한 조사 자료를 11일 대검찰청에 넘긴 이유에 대한 설명이다.

박 위원장은 이날 서울 광화문의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경찰이 아닌 검찰에 사건 조사 내용을 넘긴 이유를 묻는 질문에 “권익위는 조사된 사건을 검찰로도 경찰로도 이첩할 수 있다”며 “이 건은 검찰에 보내는 게 타당하겠다고 판단했고, 통상적으로 했던 기존 판단 경험을 반영했을 때 이 건은 검찰로 가는게 맞다고 봤다”고 답했다.

이어 ‘경찰이 버닝썬 사건 관계자들과 유착 의심 정황이 있어서 그런 것이냐’는 질문에 박 위원장은 “그 부분도 일정 정도 반영됐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유착관계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상식적으로 그 부분을 감안해서 수사기관을 정하도록 한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또 “혐의의 신빙성이 높아 시급한 처리가 필요한 사건”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혐의의 신빙성이 다소 떨어질 때는 수사기관에 ‘이첩’이 아닌 ‘송부’를 한다”며 이 같이 덧붙였다.

권익위와 대검에 따르면 현재 검찰에 접수된 자료는 ‘부패’와 ‘공익’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 10여건의 자료로 구성돼있다. 검찰 관계자는 “현재 실무 보고서 형태로 요약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