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합의 성실히 지켜야 양국우호확대|앨런·호머 <전 미 무역대표부 부대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최근 한미 양국정부의 통상개혁에 관한 합의는 양국통상관계의 역사적 발전이며, 미국이 상당한 통상불만을 갖고있는 다른 무역상대국들로부터 근본적으로 한국을 떼어놓았다.
이번 합의의 중요성은 슈퍼301조에 따른 우선 협상국 지정을 피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 같은 이례적인 성과는 한국정부의 건설적 접근방식과 워싱턴에 조성된 대한우호 확보에 못지 않게 한국이 지금까지 동류로 간주됐던 다른 아시아국가들과 다른 우호적인 국가라는 인상을 심은 것이다.
이 성과는 한국의 외국인 투자 및 농·공산품 수입을 망라하는 광범위한 조건완화로 더욱 괄목할 만 하고 오래 지속될 것이다.
이 결과 미국은 장래 한국을 점차 세계에서 가장 개방된 시장을 유지하고 있는 홍콩 및 싱가포르와 같은 나라로 생각하게 되는 반면, 일본의 아류로는 생각하지』않게 될 것이다.
그러나 각국간의 복잡한 사정으로 인해 어떤 성과도 자동성취 될 수는 없다. 한국은 앞으로 무역개방합의를 성실하게 보완 시행, 한국이 얻은 미국내의 신뢰를 계속 유지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만 한국은 얻기 어려운 미국내의 우호적 분위기를 보전하고 더욱 확대할 수 있다. 이미 이루어놓은 합의로 한국과 미국은 또 다른 경우 및 방식을 통해 궁극적으로 더욱 호혜적 통상관계를 계속 이룩하는데 합심할 수 있게 됐다.
한미양국 정부는 예컨대 제네바에서 진행중인 우루과이라운드 무역협상에서도 협력을 계속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의 통상 개혁은 역사적 성과이며 동시에 무역은 물론 다른 문제에서도 한미양국이 공유해온 호혜적 관계를 더욱 고양하게 되리라 믿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