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모 75% 출산 후 산후조리원 이용…절반 “산후우울 경험”

중앙일보

입력

신생아. [연합뉴스]

신생아. [연합뉴스]

국내 산모 75%는 출산 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모들은 조리원에서 평균 13일 머물며 약 220만원을 썼다.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8 산후조리 실태조사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지난 2017년에 출산한 산모 2911명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해 얻은 내용이다.

[자료 : 보건복지부]

[자료 : 보건복지부]

산모들이 출산 후 6주 동안인 산욕기에 이용하는 산후조리 장소로는 산후조리원(75.1%)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서 본인 집(70.2%), 친가(친정·19.8%), 시가(2.4%)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장소는 중복 응답이 가능하다.

보건복지부 2018 산후조리 실태조사 #산후조리원 평균 13일간 220만원 써 #22%는 산후우울감 해소 도움 못받아

산모들이 선호하는 산후조리 장소로도 산후조리원(75.9%)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외에 본인 집(17.7%), 친가(6.0%) 등의 순이었다. 25세 미만 산모의 경우엔 본인 집을 선호하는 비율이 29.1%로 전체 응답률보다 높았다.

[자료 : 보건복지부]

[자료 : 보건복지부]

산모들은 산후조리원에서 평균 13.2일을 머무르며 비용은 약 220만7000원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이유로는 '육아에 시달리지 않고 편하게 산후조리를 할 수 있어서(36.5%)'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론 ‘육아 전문가에게 육아 방법에 도움을 받기 위해서(18.7%)’라고 응답이 많았다.

반면 가장 오랜 기간 이용한 장소는 본인 집(22.6일), 친가(22.3일), 시가(20.3일), 산후조리원(13.2일)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만족도는 친가(4.3점), 산후조리원(4.0점), 본인 집(3.8점), 시가(3.7점) 순이었다.

[자료 : 보건복지부]

[자료 : 보건복지부]

본인 집과 친가·시가 등 집에서 산후조리를 할 경우 평균 지출하는 비용은 95만8000원이었다. 집에서 산후조리를 할 때 가장 도움을 준 사람 1순위론 친가 부모(47.4%)와 산후조리 도우미(낮·28.9%)였다. 2순위론 배우자(52.3%), 친가 부모(16.2%) 등이 꼽혔다. 산모들은 집에서 산후조리를 할 때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육으론 신생아 돌봄 교육(64.3%)과 신생아 안전 교육(63.5%)을 꼽았다.

한편 산후조리 기간 산모의 50.3%가 산후 우울감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사 당시 산후 우울 위험군에 속하는 비율은 33.9%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 우울 위험군은 산후 우울 측정 검사인 ‘에든버러 검사(EPDS)’에서 총 30점 중 10점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산후 우울감 해소에 도움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22.0%나 됐다. 25세 미만 산모는 도움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34.7%로 더 높았다.

산모들은 만족스러운 산후조리를 위해 필요한 정부정책 1순위로 산후조리원 경비지원(51.1%),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확대(15.4%) 등을 꼽았다. 2순위 정책으론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확대(27.2%), 배우자 육아 휴직(또는 출산휴가)제도 활성화(23.4%) 등으로 답했다. 산모의 건강관리를 위한 정책으론 무료 산후진찰 지원(37.7%), 산후 우울 상담 및 치료(32.8%)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산모·신생아의 건강 및 안전 증진 정책을 만들 때 필요한 자료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양성일 복지부 인구정책실장은 “산모 실태조사는 이번에 처음 실시됐으며 앞으로 3년마다 할 것”이라며 “산후조리 실태조사를 통해 산후조리 현황과 서비스 욕구 등을 확인함에 따라 이번 조사 결과를 충분히 검토해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승호 기자 wonder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