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6개시 도청유치 줄다리기 "4년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전남도청을 전남지역으로-.』
전남도민들 사이에 전남도청 이전문제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갈수록 뜨겁다.
한일합방직후인 1910년 10월 1일 일제의 지방관제실시 후 제주도까지 포함해 1부28군2백48면의 행정중심지로 79년간 광주에 자리잡아온 전남도청이 광주를 떠나 갈 곳을 물색하게 된 것은 86년 11월 1일부로 광주시가 직할시로 승격돼 전남도와 분리되면서부터다.
행정단위가 분리되어 버린 마당에 전남도청이 언제까지 광주에 더부살이를 할 수 없어 마땅히 전남지역으로 옮겨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왔다.
직할시 분리 직후 일기 시작한 도청이전론은 13대 총선때 선거공약으로 등장하면서 본격화됐다.
당시 각 정당후보들은 자기 지역구 주민들에게 도청을 유치해 내 고장을 혁신적으로 발전시키겠다고 공약을 내걸었고 6개 시민들도 도청유치경쟁을 벌이고 있다.
가장 유력한 이전 후보지는 목포·나주·순천·강진 등 4곳.
목포는 전남 최대의 도시임을 내세우고, 나주는 옛 조선시대이래 목사가 주재했던 역사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 순천은 여천중화학공단과 광양제철을 낀 중요공단 거점도시임을 자랑하고, 강진은 지리상으로 전남의 최고 중심지라는 이점으로 맞서고 있다.
도청유치운동과 함께 도민들은 도청이전 후 현 도청청사와 부지활용에 대해서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전남도청은 한국현대정치사중 최대의 비극으로 남을 「5·18광주민중항쟁」의 본거지이기 때문에 아픈 역사의 탁류를 한 몸으로 감싸안았던 전남도청건물 자체를 기념관 등으로 지정해 역사의 산 교훈장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5·18 유관단체를 중심으로 끈질기게 제기되고 있다.
해방직후와 자유당 때부터 반독재·반민주 투쟁을 위한 시민집회장소로 사랑 받았던 도청 앞 광장과 분수대 등 건물과 그 일대를 기념관으로 지정하자는 의견은 지난 국정감사때 신기하 의원에 의해 국회차원에서까지 거론되기도 했다.
홍남정 변호사(76·전남민주회복국민협의회의장)도 『위령탑건립 등을 포함해 주변일대를 성역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하고 있다.
도청이전에는 무엇보다도 약 60억원이나 소요되는 비용확보가 문제다.
광주시의 분리로 재정자립도가 전국 최하위가 된 전남도로서는 사업비학보가 최대 관건이다.
현재의 청사를 매각하려 해도 부지 대부분이 국유지인데다 그나마 금남로와 순환도로를 연결하는 도시계획에 묶여 사실상 매각도 어려운 실정이다. <광주=임광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