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평」앞으로 해야한다"68·4%|「3·20」담화 8백명 전화 설문조사|38%가 "연기로 정국안정 악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중간평가연기에 대한 찬반반응=중간평가연기를 지지하는 층은 대체로 나이가 많을수록(20대 53·7%, 30대 56·7%, 40대 61·1%, 50대이상 57·3%), 학력이 높을수록 (국졸이하 41·7%, 중졸 51·6%, 고졸 60·4%, 대졸이상 71·2%)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반대를 표명한 층은 연령별로는 나이가 적을수록 응답률이 높았으며, 학력별로는 지지한다와 마찬가지로 학력이 높을수록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그러나 대학생의 경우 지지한다가 48·4%로 반대(41·9%)보다 다소 많은 편이나 타 학력 집단에 비해 찬반양론이 팽팽하다.

<대구 지지도 최고>
지역별로는 중평연기를 지지하는 사람이 대구(65·8%), 강원(65·6%), 부산(64·3%)등지에서 많았고, 인천(46·7%), 광주(50%), 충청(51·3%)에서 적은 편이었다.
◇연기지지자의 지지이유=지지하는 사람의 42·9%가 5공 청산 및 광주문제의 선결을 그 이유로 들고있어 이두 문제가 해결이 안된 상태에서의 중간평가는 무의미하다는 야당측 주장에 동조했다.
이러한 경향은 남자(40·9%)보다 여자(46·2%)에 다소 많았고 비 도시(38·2%)보다는 도시(대도시 44·2%, 중소도시 46·8%)에, 지역별로는 전라(66·0%), 광주·인천(이상 각50·0%), 서울(46·1%)에서 많았고 경상(29·9%), 대구(32·0%)쪽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반대자의 반대이유=「노 대통령정부의 진퇴를 국민이 심판해야 하기때문에」가 전체의 29·3%를 차지,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 같은 경향은 성별·연령별·학력별·거주지역별에 상관없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다만 중소도시(47·5%)의 응답률이 다른 지역에 비해 아주 높게 나타났다.

<젊은층서 "불안">
◇중평연기 후 정국전망=정국이 지금보다 안정될 것이라고 답한 사람은 여자(32%)보다는 남자(44·4%)가 훨씬 많았으며, 연령이 많을수록(20대 32·1%, 30대 35·9%, 40대 41·7%, 50대이상 44·5%), 학력이 높을수록(국졸이하 25·9%, 중졸37·3, 고졸 42·4%, 대졸이상 44·5%)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반면 정국이 더 불안해질 것으로 보는 응답자는 연령이 낮을수록(20대 27·3%, 30대 24·3%, 40대 15·4%, 50대이상 16·5%) 많다.
지역별로는 정국이 안정될 것으로 전망한 사람이 가장 많은 곳은 광주지역(56·3%)으로 나타났다.
◇중평연기후 정부의 우선 과제=정부가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두가지를 고르게 한 결과 5공 청산을 전체 응답자의 43·3%가 지적, 5공 청산을 위한 정부의 노력을 촉구하고있다.
5공 청산, 광주문제해결, 노사문제해결 및 학원안정 등을 나이가 젊을수록 주요과제로 꼽았다.
지역별로는 서울(50·7%)이 「5공 청산」을 가장 많이 우선 과제로 꼽았고 전라(48·9%), 부산(48·6%), 대구(48·6%), 충청(29·5%), 광주(31·2%), 인천(33 . 3%)등의 순이다.
그러나 「광주문제해결」의 경우 광주(81·3%), 전라(63·8%)지역이 압도적으로 응답자가 많은 반면 경상(19·0%), 부산(20·0%)지역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응답률을 보여 지역간 편중현상이 뚜렷했다.

<경제악화 이유도>
◇중평연기 이유=노대통령의 중간평가연기 이유로 가장 많이 지적한 「정국 불안우려」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20대 38·3%, 30대 33·6%, 40대 32·4%, 50대이상 28·7%), 그리고 학력이 높을수록(국졸이하 16·5%, 중졸 26·1%, 고졸 37·8%, 대졸이상 44·5%) 응답률이 높았다.
「경제악화우려」는 40대가 22·5%로 가장 많고 30대 18·8%, 50대이상 13·8%, 20대 12·2% 순이었다.
반면 「국민투표에서 이길 자신이 없어서」를 연기 이유로 꼽는 응답자는 고학력일수록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중간평가실시여부=중간평가를 해야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나이가 적을수록, 그리고 학력이 높아질수록 많았다.
실시방법으로는 국민투표를 지지하는 쪽은 50대이상이 31·3%로 낮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나머지 연령집단은 45∼50%로 비슷했다.

<문일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