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영하권 날씨의 시동장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영하권 날씨에서는 기화기와 그 주위부분 등이 얼어서 연료의 공급이 차단되는 아이싱(icing) 현상이 나타나곤 한다.
이 아이싱 현상의 원인은 기화기에서 연료가 기화할 때 기화잠열을 흡입공기에서 빼앗아 흡입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통로벽 등에 얼어붙어 있기 때문인 것이다.
이런 현상이 계속되면 공기통로가 좁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공기부족 현상이 일어나 연료과잉으로 인한 시동불능과 연료의 차단으로 운행 중 엔진의 힘이 떨어지게 되고 이내 시동이 꺼져버리고 마는 것이다.
자동차의 아이싱 현상은 사람의 기관지천식과 같은 것인데 이런 때는 자동차를 한쪽에 세우고 기화기 주위를 뜨거운 물에 적신 헝겊으로 덮어 기화기를 따뜻하게 해주면 문제는 해결된다.
이른 아침에 시동이 걸리지 않는 원인이 아이싱현상이라면 이 방법으로 조치한 후 시동을 걸도록 해야 한다.
겨울철에는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가 배기판 주위를 거치도록 하여 더워진 공기가 공기청정기로 들어가도록 해야하므로 에어클리너 케이스 앞쪽에 있는 레버를 W(winter)쪽으로 해놓아야 아이싱현상 등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아이싱 현상 중에 중병을 앓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연료 속에 있는 수분이 응축되어 얼어서 연료를 기화기에 보내주지 못하는 경우다.
이것은 엔진 옆에 붙어있는 연료필터를 보면 알 수 있는데 연료필터는 연료의 미세한 불순물과 수분을 걸러주는 것이므로 가끔 이 필터를 점검하여 필터 아랫부분에 물이 괴어있으면 이를 교환해 주어야 이런 아이싱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디젤자동차의 연료는 경유를 사용하게 되는데 경유는 가솔린보다 수분이 많고 혹한시에는 연료자체에 함유된 성분 때문에 파라핀왁스 크리스틀 현상이 생기게 된다.
이 현상은 기온이 영하로 내려감에 따라 연료에 섞여 있는 파라핀이 연료파이프를 지나 연료필터틀 통과하지 못하고 계속 필터에 축적되어 일어나는데 연료공급계통을 얼음으로 완전히 차단시켜 심한 주행장애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겨울철에는 주행이 끝난 후 항상 연료를 가득 채워 온도차에 의한 수분발생을 줄이도록 하고 정기점검시에는 연료탱크 및 연료여과기의 드레인 코크를 풀어 물을 배출시켜 주어야한다.<래호(한국자동차보험 안전관리팀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