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이희성씨 증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회광주특위(위원장 문동환·평민)는 18, 19일 이틀간 광주사태 진상규명을 위한 청문회를 열어 최규하·전두환 양 전 대통령, 김대중 평민당총재, 이희성 전 육참총장 등 4명(이상 18일), 주영복 전 국방장관, 정동년·김상현·정기용씨 등 4명(이상 18일)에 대한 신문을 벌인다. KBS·MBC는 이 청문회를 텔리비전으로 생 중계할 예정이다.
그러나 18일의 청문회에는 전·최 두 전 대통령의 불참이 확실시되고 있어 김·이씨 등 2명에 대해서만 증언청취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야당 측은 『광주의거의 진상규명에 당시 최고통치권자이고 실질적 최고 책임자였던 최·전 두 전 대통령의 증언은 필수적』이라며 『18일 청문회에 나오지 않으면 동행명령권을 발동해서라도 국회증언대에 세운다』는 입장을 굳혀놓고 있다.
야당 측은 이번 청문회에서 광주문제를 ▲발발원인 및 동기 ▲사태의 전개과정 ▲사후처리의 순으로 규명해 나가되 광주항쟁이 전두환 정권의 부도덕하고 정당성 없는 집권과정에서 일어났다는 점을 증언과 자료제시 등을 통해 입증할 방침이다.
평민·민주·공화 등 3야당은 맨해턴 호텔에서 당별로 합숙하면서 28명의 증인에 대한 개인별·사건별 신문자료 등을 작성해놓고 있으며 문서검증활동에서 드러난 군 당국의 문서은폐·훼손행위에 대한 진상규명 책임추궁도 주력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민정당은 이번 1차 청문회에선 당시 사회의 혼란상, 정치권의 분열, 유언비어난무, 학생시위 극렬 등을 부각시켜 5·17계엄확대조치의 불가피성 등 가급적 객관적 진상규명이 되도록 노력키로 방침을 세우고 있다.
민정당은 군의 과잉 진압에는 문제가 있다는 점을 시인하고 김대중 증인을 상대로는 광주사태발생의 간접적인 책임이 있다는 점을 집중 신문할 예정이다.
박준병 사무총장 주재로 연일 대책회의를 가져온 특위위원들은 신문의 기술적 측면에선 ▲광주 쪽의 감정을 건드리지 않고 ▲증인들에게 예의를 갖추며 ▲되도록 법원판결을 재 심판하는 형식이 되지 않도록 당시 재판기록은 인용하지 않는다는 등의 전략을 세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