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인 “폼페이오 FFVD 언급, CVID보다 더 강화된 표현”

중앙일보

입력

4일 서울 중구 컨퍼런스하우스달개비에서 열린 도서 '평화의 규칙' 출간 기자 간담회에서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보가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4일 서울 중구 컨퍼런스하우스달개비에서 열린 도서 '평화의 규칙' 출간 기자 간담회에서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 특보가 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가 최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언급한 ‘FFVD’(final, fully verified denuclearization·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와 관련해 “최종(final)이 들어갔다는 점에서 ‘CVID’보다 더 강화된 표현”이라고 주장했다.

4일 문 특보는 이날 오후 대담집 ‘평화의 규칙’ 발간을 맞아 서울 정동 컨퍼런스하우스달개비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더 구체적이고 명시적인 표현”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문 특보는 최근 미국 언론 등에 보도된 북한의 비핵화 진정성 회의론에 대해 “기본적으로 추정”이라며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앞서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달 30일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국방정보국(DIA)은 북한이 북미정상회담 이후에도 핵 관련 시설을 은폐하려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문 특보는 “DIA 정보가 절대적 진실일 수는 없기 때문에 미국 16개 관련 정보기관간 상호검증을 해야한다”며 “더 중요한 전체 기관이 북한에 가서 사찰하고 검증하는 것이 이뤄질 때까지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북미정상회담 이후 후속 조치와 관련해 문 특보는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협상이) 잘 되고 있다고 하고,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에) 가고, 이것만 봐도 나는 희망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대북제재 해제 시점을 두고는 “지금까지 (북한이) 보여준 풍계리 핵시험장 폐쇄 등으로는 제재 완화가 어려울 것”이라며 “북한이 (핵시설 등) 성실 신고하고, 사찰까지 허용하면 제재 완화가 가능할 듯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이 얼마나 협력적인 자세로 나오고 미국이 얼마나 이를 진지하게 받아주느냐에 따라 유엔 안보리 제재 완화가 얼마든지 이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문 특보는 또 북한의 향후 경제개발 모델에 대해 “중국과 베트남의 경제 모델을 혼용할 수 있다”면서도 “북한이 독창적인 (경제) 모델로 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