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한달 만에 마이너스 전환…상반기 누적은 역대 최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수출이 한 달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6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0.09% 감소한 512억3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올 3월까지 17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던 수출은 4월 감소했다가, 5월 반등했지만, 다시 감소로 돌아섰다. 수입은 10.7% 증가한 449억1000만 달러였다. 무역수지는 63억2000만 달러로 77개월 연속 흑자 흐름을 이어갔다.

6월 수출 전년보다 0.09% 감소 #조업일수 감소, 기저효과 등 영향 #상반기 누적 수출은 역대 최대치 #무역수지는 77개월 연속 흑자

부산항에서 컨테이너선에 수출 화물이 선적되는 모습.[중앙포토]

부산항에서 컨테이너선에 수출 화물이 선적되는 모습.[중앙포토]

다만 금액 자체는 사상 최초로 4개월 연속 500억 달러 수출 기록을 세웠다. 이런 점을 볼 때 산업부는 추세적으로 상승세가 끊긴 건 아니라는 판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방선거 등으로 인해 조업일수가 1.5일 감소했고, 지난해 6월 대규모 선박 수출(73억7000만 달러)의 기저효과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자료:산업통상자원부

품목별로는 13개 주력품목 중 반도체·일반기계·석유화학·석유제품·차부품·섬유·컴퓨터 등 7개 품목 수출이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는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한 111억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월 단위 사상 최대치고, 지난달(108억5000만 달러)에 이어 2개월 연속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메모리 가격 안정에 따라 수출 증가 흐름이 이어지는 분위기다. 석유화학도 국제유가 상승 덕에 21개월 연속 수출 증가, 7개월 연속 40억 달러 수출을 기록했다.

자동차·철강·디스플레이 등 6개 품목은 수출이 줄었다. 자동차는 2월부터 5개월 연속 감소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자동차는 조업일수 감소에 민감한데다 국내 업체의 해외 재고 조정 등이 맞물려 수출이 줄었다”고 말했다. 디스플레이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반등에 성공했지만, 액정표시장치(LCD)는 중국 생산 확대에 따른 단가 하락으로 7개월 연속 수출이 줄었다.

상반기 누적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한 2975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상반기 일평균 수출도 7.4% 증가한 22억4000만 달러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다. 세계 경기 회복과 반도체 등 정보기술(IT) 성장세, 유가 상승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백운규 산업부 장관은 “하반기 주요국 보호무역주의 심화,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주력품목 단가 상승세 둔화 등이 예상된다”며 “수출 하방 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올해 수출 4% 증가 목표 및 무역 1조 달러를 달성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장원석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