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전엔 공개해 놓고 … 이번엔 포스코 회장 후보 5명 비공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포스코가 차기 회장 후보군을 5명으로 압축했다. 그러나 여전히 후보들을 공개하지 않기로 해 ‘깜깜이 선출’이라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포스코 회장 선임 작업을 총괄하는 ‘최고경영자(CEO) 승계 카운슬’은 20일 8차 회의를 열고 6명 후보군을 5명으로 압축했다. 포스코는 4년 전엔 5명으로 압축된 후보자의 면면과 선정 이유 등을 공개했으나 이번에는 비공개 기조를 유지하기로 했다. 포스코 측은 “후보자의 명예 보호, 후보 간 갈등 차단, 불필요한 외압 가능성을 없애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여당 “공정성 없어 선정 작업 중단을” #특정 인사 뽑으려 변양균 개입설도

그러나 포스코의 설명과 달리 내정설과 실세 개입설 등 각종 의혹 제기는 그치지 않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권칠승 의원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장 등과 “포스코는 최고경영자 승계 카운슬을 잠정 중단하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권 의원은 “사내외 후보군을 추천받고 이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어떤 객관성이나 공정함을 찾을 수 없다”며 “지난 10년 포스코를 거덜 낸 적폐 세력들이 다시 또 포스코를 움켜쥐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뒤이어 정의당 추혜선 의원도 기자회견을 열고 “불투명한 절차를 중단하고 승계 카운슬을 해체하라”고 주장했다. 추 의원 회견에 함께 참석한 정민우 전 포스코 대외협력팀장은 차기 회장 선출 과정에 변양균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개입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문재인 정부가 포스코 등 기업 인사에 개입하지 않기로 하자 이 공백을 이용해 권오준 전 포스코 회장의 측근들이 변 전 실장 등 여권 관계자들과 결탁해 친정부적 특정 후보를 선출하고 포스코를 사유화하려 한다는 것이 주장의 요지다. 변 전 실장은 노무현 정부에서 기획예산처 장관 등을 지냈다. 정 전 팀장은 “사실이 아니라면 변 전 실장이 직접 나서서 해명하라”고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향후 절차는 승계 카운슬이 5명을 CEO 후보추천위원회에 제안하면 추천위가 22~23일 두 차례 심층 면접을 한 뒤 최종 후보 1인을 정해 25일 열리는 이사회에 추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후 27일 열리는 임시주주총회에서 회장이 확정된다.

박태희·송승환 기자 adonis55@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