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개 서체로 천자문 쓴 이 사람... 도쿄서 첫 전시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20개 서체로 720종류의 천자문을 쓴 서예가 전정우(70) 심은미술관 관장의 첫 일본 전시회가 9일 도쿄에서 시작됐다. 도쿄 긴자시부야(銀座渋谷)화랑에서 15일까지 열린다.
“빨리 일본을 뒤집어 놓고 뉴욕도 뒤집어 놓자고 해서 빨리 하게 됐다.”

서예가 전정우씨, 9~15일 도쿄 긴자시부야 화랑서

서예가 전정우가 자신의 심은혼융체로 쓴 '농필천자문'앞에서 작품을 설명하고 있다. 서승욱 특파원

서예가 전정우가 자신의 심은혼융체로 쓴 '농필천자문'앞에서 작품을 설명하고 있다. 서승욱 특파원

이날 화랑에서 진행된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전 관장은 도쿄에서 첫 전시회를 열게 된 경위를 이렇게 설명했다.

계기가 된 건 일본 서예 월간지 쇼도카이(書道界) 관계자들과 일본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 출신 서법 연구가들의 적극적인 추천이었다. 지난 2월 한국에서 전 관장의 작품을 처음 접한 이들이 “선생님을 세계적으로 알리기 위해선 먼저 도쿄같은 큰 무대에서 빨리 전시회를 열어야 한다”고 팔을 걷어부치고 나섰다.

농필천자문을 설명하고 있는 전정우 서예가. 서승욱 특파원

농필천자문을 설명하고 있는 전정우 서예가. 서승욱 특파원

전시장 확보가 만만치 않았지만,우연히 전시 예약이 취소된 화랑을 발견하면서 부랴부랴 두 달 만에 전시회를 열게 됐다는 설명이다.

이번 전시회엔 전 관장이 쓴 120개 서체의 천자문 작품들 중 초백서체ㆍ후마맹서체ㆍ화폐문자체 등 3개 서체의 천자문, 여러 서체를 혼용해 하나의 천자문을 완성한 심은혼융체 ‘농필천자문’ 등 25점이 전시된다. 심은혼융체의 '심은'은 전 관장의 호다.

지난 2월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한국과 일본 국민들을 감동시킨 여자 스피드 스케이팅 500m ‘이상화-고다이라 나오(小平奈緒)’의 우정을 부각한 특별 작품도 전시된다. 도쿄에서 열리는 전시회임을 감안해 전 관장이 특별하게 준비한 작품이다.

이상화와 고다이라 선수의 우정에 감동을 받았다는 내용이 담긴 전정우 서예가의 작품.서승욱 특파원

이상화와 고다이라 선수의 우정에 감동을 받았다는 내용이 담긴 전정우 서예가의 작품.서승욱 특파원

인천 강화도 출신으로 연세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한 전 관장은 삼성그룹 비서실 등에서 직장생활을 하다 30대 후반이던 1986년부터 본격적인 서예가로서의 길을 걸었다. 2000년엔 문을 닫은 강화의 초등학교를 자신의 호를 딴 심은미술관으로 꾸며 작품을 전시중이다.

 다음은 전 관장과의 일문 일답

천자문을 120개 서체로 쓴 것을 알고 일본 전문가들이 혀를 내둘렀다는데. 
“천자문은 쓰기가 어렵다. 1000개 글자가 모두 다르니 한 자 한 자에 모두 정성을 들여서 써야 한다는 것이다. 보통 서예 작품은 두 자나 네 자 정도만 쓰면 되는데 천 개 글자를 모두 써야 하지 않나. 그리고 웬만한 서체들은 그 서체로 쓰인 글자들이 20~30개 정도만 전해 내려온다. 그래서 나머지 970자는 어떻게 써야 할 지를 자신이 직접 연구를 해서 써야 한다. 그래서 힘들다.”
이번 일본 전시회는 의미는.
“서예 잡지 관계자를 비롯한 일본 전문가들이 높이 평가해 주셨다. ‘일본에서 전시를 하고 싶다’는 말을 단 한번도 꺼낸 적도 없는데 그 분들이 먼저 서둘러 주셨다. 이번은 작은 전시장에서 하지만 두 번 세 번 정도 더 일본에서 전시회를 할 생각이다. 향후 해외 진출의 첫 걸음이라고 할 수 있겠다.”
첫 도쿄 전시회를 여는 전정우 서예가. 서승욱 특파원

첫 도쿄 전시회를 여는 전정우 서예가. 서승욱 특파원

‘쓰는 서예에서 보는 서예로’라는 지론을 갖고 있는데.
“문자의 가독성만 따지면 한자로 쓰여진 서예 작품은 한계가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서예 작품을 한ㆍ중ㆍ일 국민들만 즐기라는 법은 없지 않나. 서예의 획에는 사상과 철학이 그대로 녹아있다. 글씨는 힘차고 강건해야 하며 또 리드미컬해야 한다. 유연하면서도 강렬하고 깨끗해야 한다. 그래야 국가를 초월해 감동을 줄 수 있다.”
천자문을 쓰게 된 계기는
“1986년 삼성 비서실을 그만 두고 계속 글을 쓰고 몇 번 전시회를 열어보니 ‘이제 공부가 좀 됐구나’싶더라 .그래서 2004년 ‘왜 5체(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로 모두 천자문을 쓴 사람이 없을까. 쓰면 큰 공부가 되겠다’고 생각해 쓰기 시작했다. 10년동안 쓰려고 했는데 3개월만에 다 썼다. 다른 체로 응용해 쓰기 시작하니 2년만에 30체로 다 썼다. 크게도 써보고,작게도 써보고, 종이에도 써보고 병풍으로도 써보고 했더니 120개 서체로 모두 720종류를 쓰게 됐다. 중국에선 원나라때 조맹부가 6체로 썼고, 일본에선 300년전에 3체로 쓴 사람이 있었고, 우리나라에선 600년전 한석봉 선생님이 2체로 천자문을 썼다.”

도쿄=서승욱 특파원 sswo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