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택구입부담 6년 만에 최대…집값·금리 동반 상승 여파

중앙일보

입력

서울에서 집 사는 부담이 6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이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연합뉴스]

서울에서 집 사는 부담이 6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이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연합뉴스]

서울에서 집을 사는 부담이 6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집값과 함께 대출금리도 오르고 대출규제까지 강화되면서 주택구입부담을 키웠다.

19일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지난 2017년 4분기 서울의 주택구입부담지수(K-HAI)는 116.7로 집계돼 작년 3분기(110.3)보다 6.4포인트 오른 수치로 지난 2011년 4분기(119.4) 이후 6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중간소득 가구가 대출을 받아 중간가격 주택을 구입했을 때의 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수로, 지수 100은 소득 중 약 25%를 담보대출 원리금 갚는 데 쓴다는 것을 의미한다. 숫자가 높아질수록 부담도 늘어남을 의미한다.

서울의 주택구입부담지수는 2011년 이후 하락세를 보이다가 2015년 1분기 83.7로 저점을 찍고 상승세로 돌아섰다. 이후 분기마다 소폭 상승하면서 2016년 4분기(102.4)에 기준인 100을 넘었고 이후에도 상승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반대로 중간 정도 소득 가구가 구입하기 적절한 주택 수의 비율(0∼100)을 의미하는 주택구입물량지수(K-HOI)는 지난 2012년 통계 작성 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작년 전국의 주택구입물량지수는 58.7로 산출돼 2016년(60.4)보다 1.7포인트 떨어지면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서울지역 주택구입물량지수도 전년 대비 3.7포인트 내린 16.5로 역대 최저였다. 주택구입물량지수가 하락한다는 것은 중위소득 가구가 구입할 만한 주택 물량이 줄어 구입이 어려워진다는 뜻이다.

이처럼 주택구입이 어려워진 것은 최근 강남 재건축을 중심으로 주택가격이 급격한 상승세를 보인 데다 이를 잡기 위한 정부의 대출규제가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출금리도 상승세를 지속해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월 예금은행 가계대출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연 3.71%로 2014년 9월(3.76%) 이후 3년4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