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전문가 “북한의 사이버 공격, 러시아보다도 위협적이다”

중앙일보

입력

사이버공격 방어체계 자료사진(왼쪽)과 랜섬웨어인 '워너크라이'에 감염된 컴퓨터 화면(오른쪽) [중앙포토, 이스트시큐리티]

사이버공격 방어체계 자료사진(왼쪽)과 랜섬웨어인 '워너크라이'에 감염된 컴퓨터 화면(오른쪽) [중앙포토, 이스트시큐리티]

올해 북한의 대규모 사이버 공격이 러시아보다 위협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6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미국의 보안업체인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공동 창업자인 드미트리 알페로비치는 연례 '위협 보고서' 발간을 앞두고 이같이 말했다.

알페로비치는 북한이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을 계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2018년 나의 가장 큰 걱정은 북한"이라며 "핵시설 또는 그들의 체제에 대한 미국의 타격을 단념시키기 위해 그들이 금융 부문 등에 대한 파괴적인 공격을 가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북한에 기반을 둔 이들이 한국과 일본, 미국 단체들에 대한 악의적인 사이버 활동을 계속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근 수년간 북한은 한국 등을 대상으로 한 여러 차례의 사이버 공격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는 지난해 5월 전 세계 150여 개국을 강타한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공격의 배후로 북한을 공식 지목한 바 있다.

당시 북한의 엘리트 해킹 조직인 '라자루스 그룹'은 '워너크라이' 사이버 공격으로 전 세계의 병원과 은행, 기업의 네트워크를 마비시킨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크라우드스트라이크는 2016년 미국 민주당 전국위원회 해킹 사건을 맡았던 업체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