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대화 재개 적극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남북한 대화 재개를 비롯한 남북 관계의 획기적인 전환을 위한 다각적인 대책을 모색중인 것으로 11일 알려졌다.
정부의 한 고위소식통은『남북대화 재개, 남북한 UN가입, 국내에서의 통일 논의 개방 등 근본적인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말하고『북한측의 태도여하에 따라선 이같은 정부의 움직임이 구체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남북 대화 재개문제와 관련, 『정부는 무엇보다도 남북한간의 신뢰 회복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전제, ▲노태우 대통령이「안보를 정권에 이용하지 않겠다」고 한 발언이나 ▲이홍구 통일원장관이「통일 논의는 정부·여당의 독점물이 아니며 앞으로 야당 총재들과 상의해 추진해 나가겠다」고한 발언 등은 이같은 정부의 방침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과거와 같이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거창한」대북 제의 등을 하지 않는것도 마찬가지 측면』이라고 말하고『현재 이돈명씨 등 재야 인사들과도 통일문제 등에 대해 광범한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남북한 UN 가입문제에 있어서 모종의 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통일원 장관은 이날『남북한간에 협정을 맺어 1년 혹은 2년 단위의 시한부로 남북한이 UN에 동시 가입하는 문제를 검토 중』이라고 밝히고 시한이 끝나면 다시 협정을 맺어 시한을 연기할 수도 있으며 어느 일방이 UN에서 탈퇴하면 자동적으로 다른 일방도 탈퇴하게 된다는 것을 협정내용에 명시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와 관련, 최병보 통일원 대변인은『장관의 발언은 정부의 공식 입장이라기 보다는 남북대화를 재개키 위한 여러 가지 방안 중의 하나』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어『남북 대화가 재개될 경우 실현성 있는 회담은 적십자 회담』이라고 말하고『그에 이어 경제회담을 통해 물물교환 문제도 논의할 수 있고 국회 회담도 열릴 수 있을 것으로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한 소식통은『남북 대화 재개는 양측간의 신뢰 회복을 위해선 시간이 필요하고 올림픽이 걸려있으므로 올림픽 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 장관은 남북관계에 관련된 회담형식에 대해『양측의 필요와 합의에 의해선 다음간 회담으로 갈 수 있다는 것을 배제치 않는다』고 말하고『그러나 주한미군 철수라는 의도가 깔린 북측의 3자 회담 제의는 일체 검토치 않고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