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백악관 "남북관계 개선이 비핵화와 별개로 앞서갈 수 없어"

중앙일보

입력

허버트 맥매스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AP=연합뉴스]

허버트 맥매스터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AP=연합뉴스]

미국 백악관이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제안한 남북 정상회담에 대해 “남북관계 개선이 비핵화와 별개로 앞서갈 수 없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9일 밤(현지시간) 북한의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평양 초청과 남북 정상회담 추진에 대한 입장을 묻는 중앙일보의 질의에 “우리는 동맹 한국과 한반도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한 최대한의 압박을 유지할 필요성을 포함해 통일된 대북 대응을 하기 위해 긴밀하게 접촉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NSC대변인 남북 정상회담 입장 #"동맹 한국과 최대한 압박 유지 #통일된 대북 대응위해 긴밀 접촉, #북한의 과거 협상 행적 잘 알려져, #환상없이 냉정하게 보고 있다"

NSC 대변인은 그러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밝혔듯이, 남북관계 개선은 북한 핵 프로그램을 해결하는 것과 별개로 진전할 수 없다("The improvement of rel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cannot advance separately from resolving North Korea’s nuclear program")”고 강조했다. 또 “협상에 관한 한 그동안 북한이 보여 온 행적은 잘 알려져 있다”며 “우리는 환상을 갖지 않고 냉정하게 지켜보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미 백악관이 남북관계 개선이 비핵화보다 앞서갈 수 없다고 한 것은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태도 변화 없는 남북 정상회담에는 사실상 반대한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백악관은 이를 뒷받침하려고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을 직접 인용하기까지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10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남북관계 개선과 북핵 문제 해결을 함께 이뤄야 한다. 이 두 가지는 따로 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며 “북핵 문제가 해결돼야 남북 관계가 개선될 수 있고, 또 남북관계가 개선된다면 북핵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던 발언이다.

다른 한편으론 한국 정부를 상대로 평창 올림픽 이후엔 대북 관여정책을 중단하고 최대한 압박 캠페인으로 복귀하라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방한한 마이크 펜스 부통령도 지난 9일 문재인 대통령과 만난 후 “북한이 핵 및 탄도미사일 계획을 완전히 포기할 때까지 국제적인 최대한 압박 캠페인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이 “북한이 과거 협상 전력이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환상을 갖고 있지 않다”고 한 것도 두 차례 남북정상회담을 포함해 지난 20여년간 각종 협상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핵 및 탄도미사일 개발계획은 중단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정효식 특파원 jjpo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