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로 가라는 말입니까" 20년간 거주한 조선족 부부

미주중앙

입력

미국에 20년간 살다가 강제출국 명령을 받은 중국동포 황저룽(왼쪽), 리샹진 부부가 4일 코네티컷주 심스버리에서 열린 추방 반대 시위현장에서 눈물로 체류 허용을 호소하고 있다. [NBC방송 캡쳐]

미국에 20년간 살다가 강제출국 명령을 받은 중국동포 황저룽(왼쪽), 리샹진 부부가 4일 코네티컷주 심스버리에서 열린 추방 반대 시위현장에서 눈물로 체류 허용을 호소하고 있다. [NBC방송 캡쳐]

미국에서 추방될 위기에 놓인 중국동포 부부를 위해 지역 주민들이 추방반대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민국 "16일까지 강제출국"
지역백인사회 추방반대 시위

상대적으로 부유한 백인층이 대부분인 주민들은 "이 나라의 지도자라면 가족이라는 가치를 지켜야 한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반이민정책에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4일 코네티컷주 심스버리 신문 하트포드 큐란트와 NBC방송 등 은 다수의 매체는 이달 16일까지 강제출국 명령을 받은 황저롱(47)·리샹진(42) 부부의 안타까운 사연을 소개했다.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국적의 한인인 황씨 부부는 북한 국경과 인접한 지린성 출신으로 지난 1999년 미국에 밀입국해 뉴욕에서 이민생활을 시작했다. 어렵게 돈을 모아 12년전인 2006년 심스버리의 쇼핑몰 안에 '데코 네일'이라는 네일숍을 차렸다. 미국에서 태어난 아들 둘도 잘 컸고, 삶은 안정을 찾아가는 듯했다.

이들의 발목을 붙잡은 건 5년전 이민국으로부터 강제출국 명령서를 받으면서다. 당시 부부는 잠정 유예조치를 허가받았으나 최근 이민국으로부터 강제출국을 집행한다는 일방적인 통지를 받았다.

'제2의 고향' 미국을 떠나야 하는 시한이 다가오면서 부부의 속은 타들어갔다. 그러다 부부의 오랜 친구인 로리 케인씨가 사정을 알게됐고 주민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4일 오후 황씨 부부는 네일숍 앞에서 마주친 뜻밖의 장면에 눈물을 터트렸다. 일면식도 없는 주민들까지 100여 명이 피켓을 들고 이들 부부를 위해 시위를 벌였다.

인구 2만3000여명의 주거도시인 심스버리는 '넉넉한 백인 동네'다. 95.3%가 백인이고 가구당 중간소득은 15만5769달러다.

아내 리씨가 주민들 앞에서 울먹이며 전한 호소가 NBC방송 카메라에 고스란히 담겼다.

"이 나라에서 20년을 살았습니다. 세금도 꼬박꼬박 내고, 죄도 저지르지 않았습니다. 우린 미국인입니다. 그런데 우리보고 나가라고 합니다. 어디로 갑니까?"

시위현장에는 다수의 정치인도 참석해 황씨 부부의 추방을 반대하는 동시에 트럼프 행정부를 비난했다. 폴 도일 코네티컷주 상원의원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선거운동 당시 샌프란시스코의 불법체류자 살인범 사례를 부각시켜 반이민정책 시행 정당성을 주장했다"면서 "그러나 이는 법에 대한 그릇된 해석"이라고 말했다.

또 심스버리 타운의장인 에릭 웰먼씨는 "이 나라의 지도자라면 가족의 가치를 위해 나서야 한다"면서 "현재 미국의 이민정책은 그 가치들과 완전히 단절되어 있다"고 말했다.

부부는 5년 전에 영주권을 신청했지만 거부당했다. 또 강제출국 명령에 대한 재심도 수차례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민국은 황씨 부부에게 16일까지 중국행 편도 항공권을 제출하라고 명령한 상태다. 출국 전까지 남편 황씨는 발목에 추적장치(GPS)를 달고 지내야 한다.

부부가 가장 염려하는 것은 두 아들이다. 자식들은 중국어도 미숙하고 중국에 한 번도 가본 적 없는 2세들이다. 아들들을 중국에 데려갈 수도, 미국에 두고 갈 수도 없는 상황이다.

시위에 참석한 주민 메리 클레어 웰런씨는 "내 딸을 두고 나만 떠나야 하는 상황을 상상조차 할 수 없다"면서 "남의 일 같지 않은 이야기"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