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연구 10년간 1조 투입해 치매 발병 5살 늦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가 오는 2020년부터 10년간 약 1조1000억원의 연구ㆍ개발비를 투입해 치매 예방과 치료에 나서기로 했다. 인구 고령화로 치매환자 및 치매관리비용이 급격히 증가하자 근본적 해결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보건복지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5ㆍ6일 열리는 치매연구개발 사업 공청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기획안을 내놓는다고 4일 밝혔다.

정부는 오는 2020년부터 2029년까지 치매연구개발 사업에 투입할 1조1054억원 중에서 80.8%를 부담할 방침이다. 세부적으로는 치매 원인을 규명하고 예방 관리 기술 등을 개발하는 데 2091억원, 영상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등 혁신형 진단에 2109억원, 신약 개발 등 맞춤형 치료에 2123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치매 환자를 돌보는 데 드는 부담을 줄여주는 체감형 돌봄 기술 개발에도 1931억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치매 관련 R&D 분야를 나눠 전략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일단 치매 원인 규명 및 예방을 위해 고위험군 환자를 조기 발굴하고 예방관리 기술을 개발해 발병을 늦추기로 했다. 근원적 치매 치료제 개발도 지원한다. 현재 치매 치료제는 증상을 완화하거나 악화를 늦추는 정도만 가능한데 국내에서 근본적인 치료를 위한 신약 개발이 활성화되도록 치료제 후보 물질은 조기에 임상시험을 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국내 치매 환자 수는 2017년 70만명에서 2050년 303만명으로 4.3배 늘어날 전망이다. 전체 노인 인구에서 치매 환자 수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같은 기간 9.9%에서 16.8%로 가파르게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현 추세라면 2050년에는 노인 6명 중 1명은 치매 환자가 된다. 국내총생산(GDP)에서 치매 관리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5년 0.9%(13조2000억원)에서 2050년 3.8%(105조5000억원)로 늘어난다. 국가가 치매 관리에 사용하는 비용만 8.1배 증가한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