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공유 해외 시장 넓히는 SK, '쏘카 말레이시아' 서비스 본격 시작

중앙일보

입력

'쏘카 말레이시아'는 지난 23일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합작법인 출범식을 갖고 차량공유 서비스를 본격 시작했다. 이날 출범식에는 유현석 주말레이시아 대사(왼쪽부터), 장동현 SK㈜ 최고경영자(CEO), 낸시슈크리 총리실 장관, 조정열 쏘카 CEO, 레온 풍 쏘카 말레이시아 대표 등이 참석했다. [사진 SK]

'쏘카 말레이시아'는 지난 23일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합작법인 출범식을 갖고 차량공유 서비스를 본격 시작했다. 이날 출범식에는 유현석 주말레이시아 대사(왼쪽부터), 장동현 SK㈜ 최고경영자(CEO), 낸시슈크리 총리실 장관, 조정열 쏘카 CEO, 레온 풍 쏘카 말레이시아 대표 등이 참석했다. [사진 SK]

국내 렌터카·차량 공유 업계를 평정한 쏘카가 SK와 손잡고 동남아시아 시장 공략에 나선다. 쏘카는 지난해 SK와 공동 투자로 세운 '쏘카 말레이시아' 법인의 차량 공유 사업을 지난 23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하기로 했다.

쏘카 말레이시아, 현지에 240대 차량, 100개 쏘카 존 구축 #가까운 쏘카 존에서 원하는 시간에 빌리고 반납 #"말레이시아, 수요 많고 시장 선도 업체 없어" #최태원 회장, 다보스서 '동남아의 우버' 그랩 CEO 만나 사업 논의

쏘카가 해외 첫 진출 국가로 말레이시아를 선택한 이유는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와 달리 오토바이 이용 비중이 작고, 국민 소득 수준이 높기 때문이다. '쏘카 말레이시아'는 말레이시아 전역에 240여 대의 차량과 100여개의 쏘카 존을 구축했다. 현지 차량 공유, 렌터카 회사 중에서는 최대 규모다.

레온풍 쏘카 말레이시아 대표는 "말레이시아는 서울처럼 도심 인구 밀도가 높아 차량 공유 수요가 많다"며 "아직 시장을 선도하는 업체가 없는 것도 장점"이라고 강조했다.

쏘카는 기존 렌터카 서비스와 달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1분 단위로도 요금을 계산해 차량을 빌릴 수 있다. 전국에 있는 쏘카 존을 활용해 정해진 시간과 장소에서 차량을 빌리고 반납하지 않아도 되는 점도 장점이다. 지난 2012년 국내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쏘카는 현재 전국 3200여개 쏘카 존에서 8200대의 차량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K는 지난 2015년 쏘카에 20%의 지분을 투자했다.

SK는 그룹 차원에서도 차량 공유를 앞으로 키워야 할 핵심 사업으로 꼽고 있다. 최태원 SK 회장은 지난 24일 스위스 다보스포럼에 참석해 '동남아의 우버'로 불리는 그랩(Grab)의앤소니 탄(Anthony Tan) 대표와 만나 관련 사업 비전에 대한 의견도 교환했다.

정우성 SK㈜ 포트폴리오 1실장은 "차량 공유 서비스는 차량 소유로 인한 환경오염·교통혼잡 등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투자"라며 "관련 영역에서 새로운 협력 모델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