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복권 지방문화를 키운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정부와 민정당이 89년부터 문화예술복권을 발행하기로 한 것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국민의 문학수요에 대응해 문화부문의 가용재원확대가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
문화부 신설에 따라 문화예산확대가 요구되고 있고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른 지방문화예술진흥기반 마련이 시급해진 상황에 문예진흥원의 재원확대는 절실한 실정이다.
민정당의 문화예술복권발행은 노태우 대통령 당선자가 선거 때 문화예술인을 만난 자리에서 공약했었다.
민정당은 이에 따라 노대통령 취임 후 3개월안에 실시키로 한 문화부 독립계획과 병행해 문화예술 복권문제도 확정짓기로 했다.
매년 1백60억원 정도로 조성될 문화예술복권 발행에 따른 문화예술 지원자금은 우선적으로 지방문화예술 진흥을 위해 쓰여질 것으로 보인다.
정한모 문예진흥원장은 『문화예술 향수권의 민주화를 위해서는 우선 지방문화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문화예술복권 조성자금이 확보되면 지방문화시설 확충, 지방문예진흥기금 적립금 등에 많은 부분을 할당하겠다』고 말했다.
문예진흥원는 올해 2백79억원의 예산중, 97억원을 지방문화시설 확장 등 지방문화를 위해 책정하고 있다.
그러나 필요한 시설확보를 위해서는 크게 부족하다.
현재 문학·미술·음악·연극·무용·영화·대중예술 등 문학예술 활동에 대한 지원금도 부족하다.
지원요청에 비해 20∼30%정도밖에 지원금이 못나가고 있는 실정.
문화예술복권의 필요성은 현재 문예진흥원예산의 상당부분(88년 총예산 2백79억원중 1백70억원)을 차지하는 공익자금지원의 계속여부가 불투명해지는 데서도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정부와 민정당은 이 문화예술 복권실시를 내부적으로 확정하고 있으나 그 수익금은 스포츠·복지 등에도 쓰여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기도 하다.
체육부는 올림픽복권을 청소년 체육복권으로 전환, 국민체육진흥재단의 기금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임재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