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 "임금 동결 절대 못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TABLE cellpadding="0" cellspacing="0" border="0"><TR><TD colspan="2" valign=top style="line-height:20px;">과장급 이상 임직원들의 임금동결 선언에 대해 현대차 노조는 "임금 협상에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차 노조는 22일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조합의 임금인상 요구가 있기도 전에 관리자들을 동원해 '임금동결'을 결의하고 이를 대외에 홍보하는 것은 '막가파식 횡포'"라며 사측을 강하게 비난했다. 노조는 "지난해 2조원이 넘는 순이익을 남긴 기업답게 분배 정의를 바로 세워야 한다"며 "회사 측의 일방적인 주장에 따른 임금 동결은 절대 있을 수 없다"고 못박았다.

노조는 3월 중 임금 인상 요구안 확정, 4월 교섭 시작, 6월 산별노조 전환사업, 7월 임금인상투쟁 등 자체 일정을 계획대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환율 급락 등 일반적인 경영여건 악화 문제에 대해 노조 측은 "회사 측이 회계장부를 완전히 공개하는 등의 투명 경영을 하려는 노력은 하지 않는데도, 노조가 회사의 입맛에 맞는 인상률을 먼저 제시할 수는 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회사 측이 최근 4년간 임금을 동결해 왔던 도요타를 거명하는 것에 대해 송희석 노조 대외협력부장은 "호봉승급제를 택하고 있는 도요타와 매년 임금협상을 통해 인상률을 정해야 하는 현대차와 단순 비교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말했다. 현대차 5만2400여 명의 직원들 중 과장급 미만인 노조원은 4만2181명에 이른다.

한편 업계 일각에선 이날 현대.기아차 과장급 이상 임금 동결 선언이 협력업체 납품단가 인하 추진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 조사에 대비한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납품단가 인하 추진 사실이 알려진 직후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등이 반발하자 공정위는 "완성차 업체들이 환율하락에 따른 부담 완화를 위해 부당하게 납품단가를 인하했는지 여부를 이달 중 조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TD></TR></TABLE>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