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일본·호주·인도와 4각협력 강조 … 한국은 언급 안 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구상 중인 새 아시아 정책이 미국·일본·호주·인도 간 4각 협력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미 정부의 전·현직 고위 관료들이 밝혔다. 이들이 소개한 미국의 아시아 정책은 중국의 해양 진출에 대한 강력한 견제 전략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웰스 차관보, 새 아시아 정책 설명 #중국의 해양 진출 막는 견제 전략 #내달 트럼프 순방 때 발표할 예정

백악관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을 지낸 데니스 와일더 조지워싱턴대 교수는 27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새 아시아 정책의 캐치프레이즈는 ‘자유롭고 열린 인도양-태평양 지역’”라며 “이 구상은 미국·일본·호주·인도 4개국 사이에서 상당 기간 논의돼 왔다”고 밝혔다.

SCMP는 와일더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내달 아시아 순방 중에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새 아시아 정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달 3일부터 14일까지 한국, 중국, 일본, 필리핀, 베트남 등 아시아 5개국을 순방한다.

앞서 앨리스 웰스 미 국무부 남·중앙아시아 차관보 대행도 이날 백악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새 아시아 정책을 설명하면서 “미국과 인도는 민주주의, 투명성, 항행의 자유, 경제개발 등의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라며 “우리는 일본, 호주 같은 중요한 동맹국들과 함께 이 가치를 인도양-태평양 전역에 심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웰스는 이어 “미국과 일본, 인도는 이미 정례 합동 해상훈련인 말라바 훈련을 매년 실시하는 등 생산적인 3각 협력을 강화해왔다”며 “3개국이 공유하는 가치를 봤을 때 호주도 자연스럽게 우방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웰스는 “가치를 공유하는 4개국 간의 실무급 회담을 조만간 치르는 방안에 대해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웰스는 가치를 공유하는 아시아·태평양 국가로 한국을 언급하지 않았다.

AP통신 등은 “미국이 추진하는 4개국 협력 강화는 동·남 중국해에서의 영유권 다툼과 중국의 인도양 진출 견제 등과 무관치 않다”고 분석했다.

이기준 기자 foridealis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