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민주화 기대가 높았다|투표 당일 후보자 결정이 8%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13대 대통령 선거에서 우리나라 유권자들은 후보자와의 지역 연고나 군정 종식에 대한 기대보다는 사회안정과 민주화에 대한 기대에서 후보자를 선택했으며 후보 개인의 자질에 대한 평가는 별로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보 5면>
중앙일보사 부설 여론조사기관인 중앙SVP를 통해 전국의 유권자 1천명을 대상으로 대통령 선거가 끝난 직후인 지난 16일 하오 6시반부터 10시반까지 전화 인터뷰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유권자의 32.9%는 사회안정에 대한 기대때문에 후보자를 선택했고 ▲27.7%는 민주화에 대한 기대 때문에 찍은 반면 ▲후보자와의 지역 연고 때문이라는 응답은 4.8%에 불과했다. 그밖에 ▲후보 개인의 자질에 대한 평가때문이 15.9% ▲군정종식에 대한 기대때문이 9.6%였다. 다만 군정종식을 슬로건으로 내걸었던 김영삼 후보의 지지 유권자 중에선 39.6%가 군정종식에 대한 기대때문에 김후보를 찍었다고 응답했다.
우리나라 국민들의 투표 행태가 과거와는 달리 개인 중심으로 변해 유권자의 54.2%가 가족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독자적으로 찍을 후보를 결정했고 ▲배우자와 같이 찍기로 한 응답자는 27.4% ▲부모와 같이 찍은 사람은 7.1% ▲부모·배우자 등 전 가족이 다함께 합의해 투표했다는 응답은 11.2%에 불과했다.
유권자의 55.5%가 찍을 후보를 선거 실시 한달 전이나 이미 그 이전에 결정했다고 응답했고 ▲투표일 보름전 결정자가 14.5% ▲1주일∼10일 사이 14.0% ▲2∼4일 7.9%였으며 ▲투표하기 직전이나 전날에 비로소 결정한 사람도 8%나 됐다.
유권자의 73.7%가 후보자의 선택때문에 고심했으며 26.3%만이 망설임없이 처음 생각한대로 투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73.7%의 망설인 유권자 가운데 약 3분의1(23.6%)은 노태우 민정당후보와 김영삼 민주당 후보 사이에서 고심했는데 그중 17%는 노후보에게, 6.6%만이 김영삼 후보에게 투표했다.
김영삼 후보와 김대중 후보를 놓고 고심한 13.9%의 응답자중에선 9.1%가 김대중 후보에게, 4.8%만이 김영삼 후보에게 표를 던졌다. 노후보와 김종필 후보를 놓고 고심한 13.3%의 응답자 중에선 11.8%가 노후보, 1.5%만이 김종필 후보에게 투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44.2%가 투표하러 가기전에 이미 노후보의 당선을 예측하고 있었으며 김대중 후보가 당선하리라 본 유권자는 11.7%, 김영삼 후보로 본 사람은 8.3%, 김종필 후보가 당선될 것으로 예측한 사람은 불과 0.9%였다.
34.4%의 응답자는 당선자를 예측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