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국 중앙은행 총재, 6월 협상 시작 때부터 정경분리 공감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를 둘러싼 외교 갈등에도 한국과 중국이 통화스와프 연장에 합의하며 경제적 실리를 택했다. 외교 갈등에도 금융 부문의 한·중 협력은 지속하게 됐다.

한·중 ‘외환 안전판’ 이해 맞아

지난 6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저우샤오촨(周小川) 중국 인민은행 총재가 통화스와프 연장과 관련한 논의를 시작했을 때도 정경 분리 원칙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드 갈등에 따른 우려에도 통화스와프를 연장하면서 한국은 든든한 외환 안전판 하나를 유지하게 됐다. 한·중 통화스와프는 유사시 원화를 위안화로 바꿀 수 있는 외환 마이너스통장과 같다.

관련기사

한·중 통화스와프는 세계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2월 1800억 위안(약 300억 달러) 규모로 체결됐다. 2011년 3600억 위안으로 확대됐고 2014년 10월 3년 연장됐다. 다음 만기는 2020년 10월 10일이다.

한국 입장에서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은 심리적 안정의 효과가 크다. 9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이 3847억 달러에 달하고 66개월 연속 경상수지 흑자를 이어가는 등 경제의 기초 체력은 튼튼한 상태다. 기축통화로 이뤄진 통화스와프만큼 실익은 크지 않지만 중국과의 무역거래 규모나 총 통화스와프 체결액(1222억 달러)에서 차지하는 비중(46%)을 감안하면 계약 연장은 꼭 필요했다.

중국 입장에서도 한·중 통화스와프를 유지할 필요가 컸다는 분석이다. 한·중 통화스와프(3600억 위안)는 홍콩(4000억 위안)에 이어 둘째로 규모가 큰 한·중 통화스와프를 유지했다는 의미가 있다. 전체 통화스와프(3조510억 위안) 중 11.8%를 차지한다. 윤덕룡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위안화 국제화를 추진하는 중국에 한국은 아시아에서 중요한 협력 파트너”라고 말했다. 2014년 말 시작된 원·위안화 직거래도 영향을 준 요인으로 꼽힌다. 아직 거래 규모가 크지 않지만 수시로 자금 조달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통화스와프 계약을 중단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란 것이다. 국제금융시장의 신뢰 회복과 위상 강화에 드라이브를 거는 분위기도 영향을 줬을 것으로 분석된다.

하현옥 기자 hyunoc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