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모르는 사이…이동 3사, 3년간 요금 잘못 계산 총 301억원

중앙일보

입력

이동통신 3사. 왼쪽부터 KTㆍ SK텔레콤ㆍLG유플러스 BI. [중앙포토]

이동통신 3사. 왼쪽부터 KTㆍ SK텔레콤ㆍLG유플러스 BI. [중앙포토]

이동통신 3사 고객들이 내지 않아도 될 요금을 더 낸 ‘과오납’ 금액이 최근 3년 반 동안 총 3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최명길 의원 #“고객의 환불 청구 전까지는 #회사도 몰라… #원인 파악 및 대책 마련해야”

1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명길 국민의당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통사들이 2014년부터 올해 6월까지 고객에게 통신요금을 잘못해서 더 받은 건수가 255만 5000건으로 총 301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더 받은 금액을 돌려준 사례가 199만 4000건으로 금액으로는 273억원이었다. 이 중 서비스 해지나 연락 실패 등으로 56만1000건, 27억6600만원 가량의 과오납 요금은 아직 고객에게 돌려주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과오납한 요금을 고객에게 다시 돌려준 경우는 ▶SK텔레콤 약 60만5000건 162억6400만원 ▶KT 약 120만3000건 104억600만원 ▶LGU+ 약 18만6000건 7억900만원으로 나타났다.

미환불 사례는 잔액 기준으로 SKT(11억 9000만원), 건수로는 LGU+(33만 9000건)가 가장 많았다. 특히 LGU+는 환불 건수(18만 6000건)보다 미환불 건수(33만 9000건)가 훨씬 많았다.

이에 대해 매년 수십만 건의 요금 과오납이 발생하고 있지만, 이통사는 정확한 원인을 밝히지 않고 있다. 이 같은 부실한 대처는 고객이 요금을 잘못 낸 사실조차 모른 채 손실을 떠안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큰 문제다.

최 의원은 “매년 수십만 건의 요금 과오납이 발생하고 있는데도 막상 이동통신사들은 ‘요금 이중납부가 많다’고만 할 뿐 상세한 사유는 밝히지 않고 있다”며 이통사들과 방송통신위원회에 원인 파악과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그는 “이처럼 이동통신사가 과오납 발생 사유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지 않다면 과오납 통계 자체도 믿기 어려울 수 있다”며 “고객들이 요금을 잘못 납부한 것을 알고 환불을 청구하기 전까지는 요금을 잘못 청구한 사실 자체를 회사가 모를 수도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