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 누적 3개 소각장 이웃 쓰레기도 받아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서울 노원구 상계동에 있는 노원 광역 쓰레기 소각장의 가동률은 19%에 불과하다. 1997년 건설 당시 서울시가 노원.도봉.강북구 세 곳의 쓰레기를 함께 처리하도록 하루 소각 용량을 8백t으로 만들었지만 쓰레기 반입량이 겨우 1백24t에 그쳐서다.

주민들이 "이웃 자치구의 쓰레기는 절대 받지 않겠다"고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간 적자만도 28억원에 이른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서울시가 "더 이상 소각장을 방치할 수 없다"며 가동률을 높이도록 자치구에 요구하고 나섰다.

그러나 주민과 자치구는 "시가 소각 용량을 잘못 추산해 놓고 이제 와서 책임을 떠넘긴다"며 반발하고 있다.

◇현황=이웃의 쓰레기도 함께 태울 수 있도록 지은 서울시내 광역 소각장은 노원을 비롯해 양천(목동).강남(일원동) 등 세 개다. 1992년부터 2001년까지 2천72억원이 들어갔다.

96년 가동한 양천 소각장은 영등포구, 2001년 가동한 강남 소각장은 성동.서초구 등의 물량을 함께 처리할 계획이었다. 이에 따라 시는 하루 최대 소각 용량을 ▶강남 9백t▶노원 8백t▶양천 4백t 규모로 크게 지었다.

그러나 문제가 생겼다. 해당 지역 주민들이 "쓰레기를 태울 때 나오는 오염 물질로 건강이 위협받고 집값도 떨어진다"며 다른 지역 쓰레기 반입을 반대하고 나섰다. 또 95년부터 쓰레기 종량제가 실시되면서 가정에서 나오는 일반 쓰레기량도 계속 줄었다.

현재 쓰레기 하루 반입량이 1백24t에 불과한 노원소각장 가동률은 19%, 1백63t인 강남소각장은 22%, 1백56t인 양천소각장은 47%에 머물고 있다. 이에 따른 누적 적자액도 노원 1백70억원, 양천 1백51억원, 강남 18억원 등 모두 3백40억원에 이른다.

특히 자치구들이 광역 소각장을 이용하지 못하고 쓰레기를 김포 쓰레기매립장으로 옮기는 바람에 지금까지 운반비가 2백6억원이나 들었다.

◇대책=서울시는 현재 김포쓰레기매립장과 같은 수준인 자치구 부담 쓰레기 소각장 반입 수수료(t당 1만6천3백20원)를 실제 처리 원가인 6만원대로 대폭 올릴 계획이다.

쓰레기를 태울 때 내는 반입 수수료를 높이면 노원.양천.강남구 부담이 커져 원가를 낮추기 위해서는 소각량을 늘릴 수밖에 없으므로 결국 다른 지역의 쓰레기를 받을 수밖에 없다는 판단에서다. 지금까지는 시가 나머지 비용 4만여원을 보전해줬다.

이와 함께 시는 소각장 인근 주민 1만2천5백여가구에 대한 난방비 지원에 차등을 두기로 했다. 지금은 주민 난방비의 50%를 똑같이 지원했으나 앞으로는 ▶가동률 70% 이상인 지역 주민은 난방비의 70%▶50~75%는 60%▶50% 이하는 50%를 각각 지원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노원 주민협의체 양순종 위원장은 "난방비 차등 지원은 현실성이 없다"며 "다른 구청 쓰레기를 들여오면 실력으로 저지하겠다"고 말했다

양영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