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총재 “물가 낮아도 경기회복세 지속 시 금리인상 검토”

중앙일보

입력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중앙포토]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중앙포토]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현재 물가수준이 낮더라도 중기적으로 경기회복세가 지속되면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지금의 물가상승률(2017년 연간 1.9% 추정)이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2%)에 다소 못 미치더라도 경기 상황에 따라 기준금리 인상을 검토할 수 있다는 뜻이다.

"채권시장, 국부펀드 자금유출은 없어 #시장 움직임 보고 필요하면 대응할 것"

이 총재는 지난달 29일 한국은행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기준금리 조정에 대해 이러한 입장을 밝혔다. 이 총재는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발언을 인용했다. 그는 “옐런 의장은 정책금리를 인상해나가지 않으면 언젠가는 인플레이션 문제가 발생하고 금융안정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어서 인플레이션이 2%에 도달할 때까지 현재의 (완화적) 정책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고 했다”며 “우리도 이 말에 공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입장이 기존과 달라진 건 아니라며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이 총재는 “우리가 관심을 갖는 불확실한 대외여건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며 “통화정책 방향과 관련해서는 지난달에서 더 나아가 어떤 메시지를 줄 여건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지난달 말 외국인 투자자가 국내 채권시장에서 대규모 매도에 나선 것에 대해서는 “외국인 투자자, 특히 중앙은행이나 국부펀드가 본격적으로 자금을 유출하는 움직임은 보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총재는 “북핵 리스크가 고조되면서 이틀(9월 26, 27일)간 대규모 순매도가 있었기 때문에 시장 심리가 움츠러들 수 있다”며 “시장 움직임을 면밀히 지켜보고 필요하다면 대응을 하겠다”고 말했다.

한중 통화스와프 협상과 관련한 질문엔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 3500억 위안 규모인 한중 통화스와프는 이달 10일로 만기를 맞는다. 한은은 중국인민은행과 협약 연장 여부를 두고 협의를 진행 중이다. 이 총재는 “우리도 가급적 빨리 결론을 내고 싶고, 중국인민은행도 그에 대한 입장이 다르지 않다”며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애란 기자 aeyan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