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문 대통령에게 ‘대북 지원’ 이의 제기…문 대통령 “시기 고려해 판단할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15일 문재인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전날 우리 정부가 북한에 800만 달러(약 90억원)의 현물지원 계획을 발표한 데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전했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이 문제는 유엔식량계획(WFP)과 유엔아동기구(UNICEF)가 북한의 영유아와 임산부에 대한 사업 지원을 요청해와 검토하게 된 것”이라며 “원칙적으로 영유아와 임산부를 지원하는 것은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다루어야 할 사안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런 뒤 “이 사안은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에서 현재의 제반 상황 등을 종합 감안해 시기 등 관련사항을 판단하게 될 것”이라며 “언젠가 그런 인도적 지원을 하게 돼도 현금이 아니라 반드시 현물이어야 하고, 그것이 영유아나 임산부 등 필요한 사람들에게 틀림없이 전달돼야 하며, 이에 대한 모니터링도 제대로 되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고 박 대변인은 전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아베 총리가 (대북 지원 자체가 아니라) 지원 시기에 대한 고려를 요청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4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전화통화를 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4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전화통화를 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양국 정상은 이날 오후 오후 5시 37분부터 6시 11분까지 34분 간의 통화에서 “국제사회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375호를 채택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에 대한 확고하고 단합된 의지와 입장을 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한 채 또 다시 미사일 발사 도발을 감행한 것을 강력히 규탄한다”는 데 뜻을 같이 했다.

이어 “국제사회와 함께 유엔 안보리 결의를 철저하게 이행하여 북한에 대해 최고 강도의 제재와 압박을 가함으로써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올 수밖에 없도록 만들어야 한다”며 “다음 주 개최되는 유엔 총회에서 국제사회의 단합된 의지를 재확인하고 북한의 태도 변화를 끌어내기 위해 단호하고 실효적인 조치를 함께 모색해 나가자”고도 했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도 “북한의 위협에 과도하게 대응함으로써 긴장이 격화돼 자칫 우발적 충돌로 이어지지 않도록 한ㆍ일 양국이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도록 협력하자”는 당부도 했다.

문 대통령은 또한 북한이 지난달 29일에 이어 이날 또 다시 일본 상공을 넘어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데 대해 일본 국민이 느꼈을 위협과 우려에 공감을 표하면서 위로의 뜻도 전했다고 박 대변인은 밝혔다.

허진 기자 b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