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세계 3대 감염병 종식, 한국 더 많은 역할 해야”

중앙일보

입력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가난한 나라에 살기 때문에 병에 걸리고 그 병으로 죽어가고 있습니다. 이 불평등은 반드시 끝나야 합니다.”

글로벌펀드의 크리스토프 벤 대외협력이사. 백수진 기자

글로벌펀드의 크리스토프 벤 대외협력이사. 백수진 기자

세계 3대 감염병(에이즈·결핵·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국제기금 ‘글로벌펀드’의 크리스토프 벤 대외협력 이사는 최근 서울 여의도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이렇게 강조했다.

3대 감염병 퇴치 국제기금 '글로벌펀드' #크리스토프 벤 대외협력 이사 방한인터뷰 #100여개국 40억달러 지원, 민간 최대규모 #북한에도 결핵,말라리아 퇴치 지원 #한국, 2004년 이후 3300만달러 기부 #누적 기여금 23위…日 5위, 中 20위 #벤 "한국, 자금·기술 양면에서 잠재력" #2030년까지 3대 감염병 종식 목표 #

제네바에 본부를 둔 글로벌펀드는 3대 감염병 퇴치를 위해 2002년 설립된 민관협력 파트너십이다. 100여개국에 연간 40억달러(4조 5000억원)를 지원한다. 전세계 에이즈 퇴치 비용의 20%, 결핵의 65%, 말라리아의 50%가 이 곳에서 나온다.

파푸아뉴기니에서 말라리아에 걸린 5세 소녀가 치료를 받고 있다. [사진 글로벌펀드]

파푸아뉴기니에서 말라리아에 걸린 5세 소녀가 치료를 받고 있다. [사진 글로벌펀드]

글로벌펀드는 15년간 1700만명의 목숨을 구했다고 한다. 지원 국가에서는 세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이 1/3 수준으로 낮아졌다.

벤 이사는 “목표 달성을 위해 시기적으로 중요한 지점에 와 있다”고 평가했다. 글로벌펀드의 최종 목표는 2030년까지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에서 3대 감염병의 뿌리를 뽑는 것이다.

“지금까지 잘 해왔지만 더 강하게 밀고 나가지 않으면 완성할 수 없어요. 불가능에 가까운 목표이기 때문에 더 많은 선진국들이 책임을 가지고 연대해야 합니다.”

 기금의 94%는 각 정부들에서 부담한다. 미국·프랑스·영국·독일 등 선진국의 역할이 크다. 15년간 누적 기여금 1위인 미국은 2위 프랑스의 3배 가까운 120억달러(약 13조 5000억원)를 냈다.

 한국은 2004년 글로벌펀드에 처음 참여해 지난해까지 3300만달러(약 369억원)를 지원했다. 벤 이사는 매년 한국을 방문해 외교부·복지부·코이카 등을 만나 협력 유지를 위한 신뢰관계를 다져왔다. 그는 한국이 국제 보건에 보다 더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질병 종식을 위해서는 자금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선진국이면서 혁신적인 의료기술 가진 한국은 두 가지 영역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은 2017~2019년 기여금 규모를 기존 수준(2014~2016년)인 연평균 400만달러(약 45억원)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반면 일본은 46%, 캐나다는 24%, 호주는 10%를 올렸다.

 한국의 누적 기여금 순위는 GDP 규모가 비슷한 캐나다(7위)와 호주(13위)보다 낮은 23위다. 이때문에 국제사회의 보건 영역에 대한 한국의 기여도를 높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벤 이사는 “한국은 항공권연대기여금(국제선 항공권 가격에서 1000원씩을 개발도상국의 질병퇴치기금으로 적립하는 제도) 등을 통해 추가 자금 확보를 위한 혁신적인 시도를 하고 있다”며 “이처럼 다양한 방법을 구상해 나간다면 한국과 글로벌펀드가 더 강력한 파트너십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글로벌펀드는 북한을 지원하는 몇 안 되는 국제기구 중 하나다. 2010년부터 결핵·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치료약과 모기장 등을 지원하고 있다. 벤 이사는 “북한은 결핵 발병률 전세계 1위이고 이는 국경이 맞닿은 남한에도 위협이 될 수 있다”며 “핵 실험 등 국제정세와 별개로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북한을 돕는 것은 당연하다. 정부가 아닌 주민을 돕는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펀드가 7년 동안 북한에 지원한 누적 금액은 9451만달러(약 1067억원)로, 한국이 글로벌펀드에 기부한 전체 금액의 3배에 가깝다.

크리스토프 벤 이사는 한국이 자금력과 의료기술 면에서 국제보건 불평등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고 말했다. 백수진 기자

크리스토프 벤 이사는 한국이 자금력과 의료기술 면에서 국제보건 불평등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고 말했다. 백수진 기자

 벤 이사는 열대의학을 전공한 의사이기도 하다. 그는 30년 전 아프리카 탄자니아의 시골 병원에서 에이즈의 참상을 목격했다. 치료약도 없는 시기였다.

 그는 “병으로 인해 마을이 완전히 사라지는 과정을 경험하며 충격으로 영혼이 떨렸다”고 표현했다. 1996년 에이즈 백신이 개발됐지만 부유한 나라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 벤 이사는 이때부터 ‘가난한 나라에 살고 있다는 이유로 죽어선 안 된다’는 철학을 갖고 국제보건에 종사해왔다.

3대 감염병의 위협은 여전히 강력하다. 2016년 에이즈로 100만명, 2015년 결핵으로 180만명이 사망했다. 열대지역을 중심으로 세계 인구의 절반인 32억명이 말라리아 감염에 노출돼 있다.

“질병 문제는 국경 안에서, 내 이웃에게서 나타나지 않는다고 해서 끝나지 않습니다. 나와 관계가 없는 사람들이 죽어가는 문제를 막는 것, 그것이 글로벌펀드의 핵심이고 세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 아닐까요.”

백수진 기자 peck.soo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