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北 도발 규탄 한목소리…정부 대응 놓고 입장차

중앙일보

입력

북한이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쏘아올린 29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뉴스를 보고 있다. 우상조 기자.

북한이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쏘아올린 29일 오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뉴스를 보고 있다. 우상조 기자.

국제사회 경고에도 또다시 미사일 도발을 감행한 북한에 대해 여야 모두 일제히 규탄하면서도 정부 측 대응에 대해서는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29일 김효은 민주당 부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소용없는 짓"이라며 "북한은 문재인 정부와 국민들이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어떠한 행위도 용납하지 않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김 부대변인은 "정부는 문재인 대통령 지시에 따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신속하게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를 소집했다"며 "우리 군은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으며, 남아있는 UFG 훈련도 완벽하게 마무리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반해 전희경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북한이 대한민국을 당사자국으로서 가치를 두는 것이 아니라 미국 등 주변국과 직접 대화하겠다는 저의를 갖고 한 행동"이라며 "국제사회가 '대한민국 패싱'을 하고 북한과 직접 대화하겠다고 할 때 우리의 운명은 어떻게 될 것이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 대변인은 "이런 상황에서 문재인 정부는 공허한 '운전자론'을 이야기하며 사드 배치 하나 일단락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문 정부를 비판했다.

손금주 국민의당 수석대변인 역시 "북한을 강력히 규탄한다"며 "도발의 끝은 고립과 자멸뿐"이라고 경고했다.

아울러 손 수석대변인은 "한반도의 안전이 다시 벼랑 끝에 몰렸다"며 "문재인 정부는 '전쟁이 없다'는 원칙적인 메시지만을 되풀이하기보다는 주변국과 발 빠른 공조와 신뢰 구축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국민이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게 해달라"고 요구했다.

박정하 바른정당 수석대변인은 "(문 정부가) 계속 말해온 대화를 접고 국제사회와 공조해 한반도에서 (북한이) 위협하는 행위를 할 수 없도록 대북전략을 수정해야 한다"며 "한미일의 굳건한 공조체계를 다시 확인해달라"고 주문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