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 감염률, 10년 간 절반 이상 줄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질병관리본부는 24일 중환자실 의료 관련 감염 감시체계(이하 KONIS)를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간 감염률이 전반적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질병본부, 재원일수 1000일당 분석 결과 #총 감염률 7.21→3.4, 요로감염 3.82→1.07 등 #"병원서 감염 관리 수준 높아진 결과" #감염 표준예방 지침 홈페이지 통해 배포

고령 폐렴 환자. [일러스트=심수휘]

고령 폐렴 환자. [일러스트=심수휘]

질본에 따르면 중환자실 의료감염 발생률을 2006~2011년, 2012~2016년으로 각각 나누어 분석한 결과 재원일수 1000일당 감염률·요로감염·혈류감염·폐렴은 모두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총 감염률은 7.21→3.4건. 요로감염 3.82→1.07건, 혈류감염 1.99→ 1.42건, 폐렴 1.41→0.91건으로 줄었다.

'재원일수 1000일'은 입원환자당 입원일수를 합해 1000이 되는 것을 일컫는다. 가령 입원 환자가 10명이고 이들의 평균 입원일수가 100일이면 '재원일수 1000일'에 해당한다.

환자 체내에 의료 기구를 삽입할 때 발생하는 감염도 눈에 띄게 줄었다. 재원일수 1000일당 도뇨관 관련 요로감염은 2006∼2011년 4.41건에서 2012∼2016년 1.26건으로 감소했다. 이 밖에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 3.11→2.4건,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도 2.11→1.38건으로 줄었다.

환자가 중환자실에 입원 중 의료 기구를 사용한 기간을 나타내는 기구사용비는 큰 변화가 없었다. 기구사용비가 1이면 입원 기간 내내 해당 의료 기구를 사용했다는 의미다. 분석결과 도뇨관 사용비는 0.85→0.83, 중심정맥관 사용비는 0.55→0.51로 감소 폭이 작았고 인공호흡기 사용비는 이 기간 각각 0.4로 변화가 없었다.

KONIS는 의료 관련 감염 규모와 발생 추이를 파악하기 위해 2006년부터 구축·운영되고 있다. 2017년 8월 현재 217개 의료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질본 이형민 의료감염관리과장은 "의료기관의 감염 관리 수준이 높아지고, 감시 체계가 확립되면서 중환자실 감염률도 감소하는 추세"라며 "의료 관련 감염 표준예방지침을 발간해 일선 의료기관에까지 감염 예방 문화를 확산시킬 계획"이라 말했다.

의료 관련 감염 표준예방지침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http://cdc.go.kr)에서 받을 수 있다.

박정렬 기자 park.jungryu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