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 사드 찬성파-반대파 이구동성으로 "정부의 일반환경영향평가 반대"

중앙일보

입력

지난 26일 오후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에서 열린 사드 반대 집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6일 오후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에서 열린 사드 반대 집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경북 성주에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체계 배치를 놓고 격렬하게 대립해온 사드 반대파와 찬성파가 28일 모처럼 '한목소리'를 냈다.
사드 배치에 반대해온 주민·환경단체와 찬성해온 보수단체가 이날 정부의 사드 기지 일반환경영향평가 방침에 대해 일제히 한목소리로 반대 입장을 밝힌 것이다. 정부의 사드 기지 환경영향평가가 낳은 역설이다.

정부, 28일 사드 "일반 환경영향평가할 것" #반대 주민·단체 "운용 중인 사드 먼저 철회하라" #찬성 단체 "환경영향평가 자체는 인력·시간 낭비"

사드 배치에 반대하는 박철주 성주투쟁위원회 기획팀장은 28일 “우선 사드운용을 중지하고 장비를 철회한 다음에 일반환경영향평가를 비롯한 모든 절차를 진행하라”며 “우리는 성주 기지로의 유류 장비, 사드 장비 등 반입을 계속해서 막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이날 경북 성주 사드 기지에 대한 일반 환경영향평가를 시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일반 환경영향평가는 주한미군 기지가 들어설 예정부지 70만여㎡ 전체에 대한 환경 유해성 평가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1년 정도 소요된다.
현재 성주에는 지난 4월 반입된 엑스밴드 레이더 1대와 발사대 2기가 반입돼 운용되고 있다. 국방부는 환경영향평가를 하면서 레이더를 계속해서 운용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주민들은 사드 장비를 철회한 다음에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하라는 입장이다.

지난 6월 사드 배치에 반대하는 경북 성주군 소성리 주민들이 군 관련차량의 출입을 막고 있다. 백경서 기자

지난 6월 사드 배치에 반대하는 경북 성주군 소성리 주민들이 군 관련차량의 출입을 막고 있다. 백경서 기자

박희주 김천시의회 의원은 “가동 중인 레이더에서 얼마만큼의 전자파가 나올지도 모르는데, 사드를 운용하면서 하는 환경평가가 무슨 의미가 있느냐”며 “결국 나머지 사드 발사대 4기를 반입하기 위한 절차인 셈”이라고 지적했다. 사드 1개 포대는 엑스밴드 레이더 1기와 발사대 6기로 구성된다. 배치되지 않은 나머지 4기는 현재 미군 부대에서 보관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석주 소성리 마을이장은 “일반환경영향평가가 진행된다고 하더라도 이 과정에 포함된 주민들 공청회에서 우리는 반대의견을 던질 것”이라며 “문재인 정부는 사드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는 약속을 지켜라”고 말했다.

지난 13일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에서는 사드배치 찬성집회가 열렸다. 백경서 기자

지난 13일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에서는 사드배치 찬성집회가 열렸다. 백경서 기자

반면 사드 배치에 찬성하는 보수단체도 이날 환경영향평가 진행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에서 사드 배치 찬성집회를 꾸준히 열어온 서북청년단의 정함철 구국결사대장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환경영향평가를 한다는 것 자체가 시간낭비, 인력낭비"라며 "세상에 국가안보보다 중요한 문제가 어디있느냐. 정부는 그만 눈치보고 사드를 당장 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성주=백경서 기자  baek. kyungse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