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불균형 해결" vs "대립은 피해 키워" 미ㆍ중 신경전 시작됐다

중앙일보

입력

미국과 중국 간 '포괄적 경제대화'가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렸다.

미국 측에선 스티브 므누신 재무장관과 윌버 로스 상무장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맏사위인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고문 등이, 중국에선 왕양 국무원 부총리와 주광야오 재정부 부부장 등이 참석했다.

미국과 중국이 함께한 '포괄적 경제대화'에서 만난 왕양 중국 국무원 부총리(왼쪽)와 스티브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 [AP=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이 함께한 '포괄적 경제대화'에서 만난 왕양 중국 국무원 부총리(왼쪽)와 스티브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 [AP=연합뉴스]

지난 4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만난 정상회담에서 미국의 대 중국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해 100일간 시간을 가지자고 했던 '허니문'이 끝난 후 본격적인 만남이었다. 통상압박 기류 때문에 개막식 행사 등은 이전보다 축소됐다.

미국은 압박으로 나섰다.

로스 상무장관은 "무역관계 불균형과 시장접근의 불평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중 무역적자가 "자연스러운 자유무역의 결과가 아니"라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그는 "무역과 투자 관계를 더 공정하고 동등하고 상호적으로 재조정할 시점이 왔다"고 언급했다.

중국은 타협이란 키워드로 대응했다.

왕 부총리는 "양측이 모든 차이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는 없고, 대립은 서로에게 더 큰 피해를 가져다줄 수 있다"며 "머리를 맞대고 차이점을 줄여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경제대화 전반에 걸쳐 긴장감이 흘렀다. 양국 모두 구체적으로 다룰 안건을 공개하지 않았고, 므누신과 로스 장관은 오후에 예정돼있던 기자회견을 취소하기도 했다. 중국 측도 기자회견 일정을 취소했다.
임주리 기자, [연합뉴스] ohmaj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