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善政 않는 임금은 백성이 추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김대중(金大中.얼굴)전 대통령이 21일 퇴임 후 처음 가진 강연에서 맹자(孟子)의 '역성(易姓)혁명'을 언급했다. '2003 하버드 국제학생회의'개막식에 참석, '아시아의 미래와 한반도 평화'라는 기조연설을 통해서다.

연설에서 金전대통령은 "2천3백년 전 맹자는 '임금의 권력은 하늘이 백성에게 선정(善政)을 하라는 천명과 더불어 내린 것이다. 만일 임금이 선정을 하지 않고 백성을 괴롭힌다면 백성은 임금을 추방할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면서 "이런 주권재민 사상은 근대 서구민주주의의 사상적 원류가 되고 있는 존 로크보다 2천년이나 앞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의 이런 언급은 아시아의 민주주의 전통에 대해 말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서구 학자들은 아시아에는 민주주의에 대한 문화적 전통이 없기 때문에 민주주의가 자랄 수 없다고 주장해 왔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면서 "한국의 민족종교인 동학에도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말이 있고, 불교에선 '나 자신의 인권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가르침이 있다"고 역설했다.

그의 발언은 한나라당 최병렬(崔秉烈)대표가 노무현(盧武鉉)대통령을 겨냥, 정권퇴진 운동을 거론하는 시점에 나온 것이어서 배경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하지만 金전대통령의 김한정(金漢正)비서관은 "과거에도 수차례 해온 이야기"라며 "확대 해석하는 것은 어처구니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金전대통령은 이날 북한에 대해 "핵을 완전히 포기하고 미국은 북의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며 "6자가 공동으로 또 한번 보장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원칙은 일괄타결하고 실천은 필요에 따라 단계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