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비만 남성, 미세먼지로 폐 기능 저하 심화"

중앙일보

입력

[중앙포토]

[중앙포토]

미세먼지가 복부비만 남성에게 더 위험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보건환경연구소와 서울대 의대 연구팀(김현진·박진호·조비룡·김종일 교수)은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대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남성 1876명을 대상으로 거주지의 연평균을 비롯한 미세먼지 농도와 복부지방 및 폐활량을 측정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16일 밝혔다.

분석 결과 내장지방 또는 피하지방 단면적이 200㎠를 초과하는 성인(평균 허리둘레 98cm))은 거주지 미세먼지 농도가 약 10㎍/㎥ 증가할 때마다 폐 기능도 약 10% 감소했다. 반면 복부비만이 미미하거나 없는 성인 (단면적 200㎠ 이하·평균 허리둘레 87cm)의 경우 동일한 미세먼지 농도 노출에서 폐 기능 저하가 관찰되지 않았다.

박진호 교수는 "복부비만이 있는 사람은 그 자체만으로도 보통인 사람보다 각종 호흡기 질환과 뇌 심혈관 질환이 더 잘 걸릴 수 있다"며 "평소 이런 문제점을 인지하고 미세먼지 노출을 최소화하는 생활습관과 복부지방 감량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