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문소영의 컬처 스토리

검은 얼굴, 한국의 선택적 세계화의 민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4면

문소영 코리아중앙데일리 문화부장

문소영 코리아중앙데일리 문화부장

“불과 몇 주 만에 또 ‘블랙페이스’예요. 지금 소셜미디어에서 한국이 이렇게 인종차별적이었느냐고 아우성이에요….”

얼마 전 우리 영어신문의 경제뉴스 에디터인 미국인 모니카 윌리엄스가 이렇게 말하며 이미지 하나와 외국인들의 코멘트를 보여줬다. SBS 코미디 ‘웃음을 찾는 사람들’(웃찾사)의 한 장면을 캡처한 것이었는데, ‘아프리카 원주민 분장’으로 얼굴을 검게 칠한 개그우먼의 모습이었다. 모니카가 “또”라고 한 것은 지난 3월 한 인기 걸그룹의 콘서트도 K팝 팬 사이에 문제가 됐기 때문이다. 흑인 뮤지션의 뮤직비디오 장면을 오마주하면서 얼굴을 검게 칠한 것이다.

유럽계 등 타 인종이 아프리카계로 분장하면서 얼굴을 검게 칠하는 것은 19세기 미국의 흑인 희화적인 쇼를 통해 널리 퍼지게 된 것이다. 그런 분장 행위가 ‘블랙페이스(Blackface)’라는 한 단어의 고유명사가 돼 그 자체로 인종차별적 함의를 품게 됐고 그 후 어떤 맥락에서건 금기시된 것이다. 하지만 한국에선 그걸 모르는 이가 아직 많다. 그래서 나는 말했다. “정말 고쳐야 할 일 맞는데, 인종차별로 그런 건 아닐 거예요. 그냥 국제적 예의나 금기를 잘 모르는 사람이 많은 거죠. 심지어 어떤 한국인들은 자신을 포함한 아시아인을 눈 양쪽으로 찢어진 모습으로 표현하는 게 뭐 대단한 문제냐고 하니까요. 시각적 언어의 인종차별 함의와 그 심각성에 대해 둔감한 거죠.”

블랙페이스를 보여주는 1900년 미국 쇼 포스터.

블랙페이스를 보여주는 1900년 미국 쇼 포스터.

모니카는 고개를 저으며 말했다. “한국 연예계가 늘 그렇게 말하면서 사과해 왔는데, 그러고는 다시 반복되니 더 이상 변명이 안 됩니다. K팝은 미국 흑인 음악에서 영향 받은 게 많고 미국 흑인 뮤지션들과 협업도 많이 해요. 그러면서 계속 모른다니요. 그리고 세상에서 가장 빠른 인터넷을 가지고, 클릭 한 번만 해도 이런 건 알 수 있잖아요.”

이런 대화를 주고받으며 한 가지를 느낄 수 있었다. 한국은 그간 ‘세계화’를 외쳐 왔고 경제교역과 한류와 인터넷 연결로 충분히 세계화됐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내적으로 세계시민 의식은 충분치 않다는 것을. 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가 유튜브를 통해 뜻하지 않게 세계적 센세이션이 되는 것을 목격했으면서도 블랙페이스 코미디나 뮤직비디오가 같은 식으로 국경을 넘어 누군가를 불쾌하게 할 수 있다는 건 미처 생각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결국 물의와 사과를 반복하면서도 또 튀어나오는 ‘검은 얼굴’은 그간 ‘국위 선양’과 경제이익에만 초점을 둔 한국의 선택적 세계화가 초래한 민낯인지도 모르겠다.

문소영 코리아중앙데일리 문화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