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만 또는 낳은 김에 셋까지…둘째 출산 기피로 출생아 감소

중앙일보

입력

[사진 ‘인구 및 출산 동향과 대응 방향 보고서’ 캡처]

[사진 ‘인구 및 출산 동향과 대응 방향 보고서’ 캡처]

둘째를 낳지 않으려는 경향이 출생아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8일 이삼식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인구 및 출산 동향과 대응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출생아 수는 지난 1997년 66만8000명에서 2015년 43만8000명으로 18년 사이에 34.4%(23만명) 줄었다.

그중에서도 출산 순위별로 살펴보면 첫째 아이는 29.2%(9만4000명) 줄었고, 둘째 아이는 40.9%(11만5000명), 셋째 아이 이상은 34.3%(2만2000명) 감소했다.

결과적으로 셋째 이상 출산 비율은 큰 변화가 없고, 둘째 출산 비율은 가파르게 감소하는 대신 첫째 출산 비율은 상승했다.

보고서는 지난 20년여 동안 출생아 수의 감소는 둘째 출산의 감소, 그 다음으로는 셋째 이상 출산의 감소가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감소폭으로 살펴보면 둘째 아이가 상대적으로 많이 높았다. 둘째를 낳지 않으려는 경향이 두드러져 출생아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출생아 감소폭보다 첫째 아이 감소폭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아이 이상은 비슷했다.

연구원은 초저출산현상의 인구학적 결정 요인으로 주된 가임 연령층 여성의 감소, 초혼 감소, 만혼화 등에 따른 20대 여성의 출산 급감과 30대 여성의 출산 만회(catch-up) 현상 미흡, 혼외 임신의 출산 억제 등으로 분석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