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과학자의 물리적 추론 … 촛불집회 '순간 참가자'만 최대 70만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사진 박인규 페이스북]

[사진 박인규 페이스북]

[사진 박인규 페이스북]

[사진 박인규 페이스북]

한 입자물리학자의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통한 논리적인 집회 인원 추산이 네티즌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22일 박인규 서울시립대 교수는 페이스북을 통해 집회 인원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박 교수는 "광화문 광장에 몇 명이 모였는지를 놓고 주최측과 경찰의 추산이 5배나 다르다"며 분석의 이유를 밝혔다.

박 교수는 19일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코드를 짠 뒤 집회 사진의 일부에서 촛불 개수를 셌고, 정확도를 따져봤다. 그랬더니 육안으로 일일이 센 것과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는 코딩을 통해 전체 사진에 들어 있는 촛불의 수를 셌다. 빌딩 유리창에 비친 촛불은 모두 제외했다.

현장엔 촛불을 들지 않은 군중도 있었으므로 그 숫자도 고려해야 했다. 촛불을 든 사람들의 수와 거의 비슷하거나 2배쯤 되는 것으로 추정했다.

그리고 나온 사진 속 군중 수의 결과값은 3만6000명~5만4000명으로 예상했다. 도로의 면적이 대략 1만㎡이므로, 결과값이 대략 1㎡ 당 4명 정도가 들어 있는 것으로 나온 것이어서 매우 합리적인 추정으로 보인다.

박 교수는 이를 바탕으로 사진뿐만 아니라 서소문·율곡로·시청광장·종각 등의 면적을 고려했다. 이 면적은 15만㎡. 따라서 19일 광화문 집회엔 50만~70만명이 모인 것으로 추산했다.

그는 페이스북 글에서 "유동인구는 고려하지 않고 어느 한 순간의 수치"라고 밝혔다. 즉박 교수가 고안한 집회 참가자 계산 방식에 따르면, 유동인구를 고려할 때 훨씬 많은 사람이 참가를 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네티즌들은 지하철 승객수, 와이파이 등 다양한 빅데이터 분석이 나오고 있는 시점에서 박 교수의 논리적인 접근에 감탄하고 있다. 댓글을 통해 "이런 접근 너무 좋다", "과학이 최고다" 등의 반응을 보이며 박 교수를 응원하고 있다.

이병채 인턴기자 lee.byungch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