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찾는 뇌출혈 환자, 추운 12월에 최다…"갑작스런 두통 주의해야"

중앙일보

입력

날씨가 추운 12월에 뇌출혈로 응급실을 찾는 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환자가 호소하는 증세는 ‘두통’이 제일 흔했다. 보건복지부는 20일 이같은 내용의 최근 5년간(2011~2015년) 응급의료 데이터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복지부 분석에 따르면 뇌출혈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는 날씨가 추워지기 시작하는 10~11월부터 급증해 12월에 평균 2177명으로 가장 많았다. 12월 환자 수는 가장 적게 발생한 7월(1746명)보다 24.7%포인트 많은 규모다. 날씨가 추워질 경우 따뜻한 곳에서 갑자기 추운 곳으로 나가게 되면 혈관이 수축되면서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 때 혈관이 높아진 압력을 이기지 못 하고 터지면 뇌출혈이 발생하는 식이다.

연령별로는 50대(23.2%)와 70대(22.1%) 환자가 가장 많았다. 하지만 30대 이하의 젊은 환자도 10명 중 1명(9.2%) 수준으로 적지 않았다. 성별로는 남성이 52.6%로 여성(47.4%)보다 조금 더 많았다.

뇌출혈 환자가 응급실을 찾으면서 호소한 주된 증상은 두통(21%)으로 집계됐다. 방향감각 상실(8.3%)과 편측마비(7.9%), 의식변화(7.2%)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주증상이 두통인 환자는 방향감각 상실과 의식변화 등을 느낀 환자에 비해 응급실 방문 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뇌출혈 위험이 있는 사람은 갑작스레 나타난 두통을 무시하지 말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국립중앙의료원의 윤순영 응급의학 전문의는 "뇌출혈은 빠른 치료가 중요하기 때문에 민간요법 등으로 시간을 허비하지 않는 게 좋다. 두통이나 몸의 마비 등 뇌출혈 의심 증세가 발생하면 빨리 119에 신고해 응급실을 방문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