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거주 외국인 171만명, 전체 인구의 3.4%

중앙일보

입력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주민이 171만명을 넘어, 총인구 대비 3.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와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2015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에 따르면,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주민은 171만 1013명이다. 17개 시·도 인구와 비교하면 10번째에 해당하며 전남(179만 9044명)보다 적고 충북(158만 9347명)보다 많은 규모이다. 외국인주민은 조사를 처음 시행한 2006년(53만6627명)에 비해 10년 동안 3배 이상 증가했다. 인구 대비 외국인주민 비율은 2006년(주민등록인구 대비 1.1%)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했다.

외국인 주민 증가 추이. 자료:행정자치부

외국인 주민 증가 추이. 자료:행정자치부

행자부에 따르면 외국인주민(171만 1013명) 중 한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사람은 모두 136만3712명(79.7%)다. 외국인 근로자, 결혼이민자, 유학생, 외국국적 동포 등이 해당한다. 한국국적을 취득한 사람(혼인귀화 등)은 14만9751명(8.8%), 외국인주민의 자녀는 19만7550명(11.5%)에 이른다. 외국인주민 자녀는 열 명 중 아홉 명이 초등학생 이하이고, 열 명 중 여섯 명이 미취학아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행자부, 지자체별 외국인주민 현황 발표…수도권에 60% 거주
근로자는 중국동포, 결혼이민은 베트남, 유학은 중국인 많아

외국인주민의 국적은 절반 이상이 중국 출신이다. 중국 출신은 전체의 52.8%(868,611명)로 한국계 중국인 37.1%(61만 554명), 중국인 15.7%(25만 8057명)이다. 이어 베트남(12.6%), 인도·파키스탄·네팔 등 남부아시아(5.7%), 태국(4.9%), 필리핀(4.8%), 미국(3.9%), 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3.1%), 캄보디아(3.1%) 순이다.

외국인 주민 유형별 현황. 자료:행정자치부

외국인 주민 유형별 현황. 자료:행정자치부

근로 목적으로 거주하는 유형은 한국계 중국인이 가장 많고, 가족형성 목적으로 거주하는 유형은 베트남 출신이 가장 많다. 외국인근로자의 40.5%, 외국국적동포의 77.2%가 한국계 중국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주민 자녀의 29.1%, 결혼이민자의 27.0%가 베트남 출신이고, 혼인귀화자의 45.2%가 한국계 중국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에 들어온 외국인 유학생의 57.4%(4만 7180명)가 중국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외국인주민 중 남녀 비율은 각각 53.8%, 46.2%다. 남성이 7.6%p 많다. 유형별로 보면 남성:여성 비율이 외국인근로자의 경우 75:25로 남성이 압도적으로 많고, 결혼이민자의 경우 17:83, 혼인귀화자의 경우 11:89로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다.

국적별 현황. 자료:행정자치부

국적별 현황. 자료:행정자치부

외국인주민은 60%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다. 시도별로는 경기(32.1%), 서울(23.9%), 경남(6.6%), 인천(5.2%), 충남(5.2%) 순서다.유학생 비중은 대학과 연구시설이 많은 대전(19.9%), 부산(10.6%), 서울(7.6%)이 전국 평균 비중(4.8%)과 비교해 볼 때 압도적으로 크다.

천인성 기자 guch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